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500대 중견기업 1Q 영업익 보니…IT·식음료 웃고 의료기기·철강 울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EO스코어, 500대 중견기업 1Q 영업이익 분석…전년비 16.6%↑

에스디바이어센서 상승 폭 최대…오상헬스케어는 감소 폭 최대

뉴스1

(CEO스코어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재현 기자 = 올해 1분기 국내 500대 중견기업의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6.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IT전기전자와 식음료·서비스 업종의 성장이 이를 견인했다. 경기 침체 장기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허리띠를 졸라매는 긴축 경영도 수익성 개선에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1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중견기업 중 이달 16일까지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496개 사의 1분기 영업이익을 조사한 결과, 2조9487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2조5281억 원 대비 16.6% 늘었다.

업종별로 보면 전체 13개 업종 중 9개 업종의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IT전기전자 업종의 증가액이 가장 컸다.

IT전기전자 업종은 지난해 1분기 3352억 원의 영업이익에서 올 1분기 5617억 원으로 67.7% 성장했다.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가 반등에 성공하면서 덩달아 같은 업종의 중견기업 실적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식음료 업종의 실적도 크게 개선됐다. 지난해 1분기 774억 원에 그쳤던 영업이익은 올 1분기 1699억 원으로 119.5% 급증했다.

서비스 업종도 늘었다. 지난해 1분기 3021억 원에서 올 1분기 3960억 원으로 31.1% 뛰었다. 이외에도 △건설‧건자재(42.2%↑) △석유화학 (13.3%↑) △생활용품(17.1%↑) △조선‧기계‧설비(16.5%↑) 등의 영업이익이 늘어났다.

의료기기 업종은 부진했다. 지난해 1분기 778억 원에서 올 1분기 259억 원으로 66.7% 감소했다. 엔데믹 이후 코로나19 진단 키트 개발업체 수익성이 악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철강‧금속‧비금속 부문도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 3236억원에서 올 1분기 2353억원으로 27.3% 줄었다. 건설경기 악화, 완성차 수요 위축, 중국과 일본의 저가 공세 등으로 직격탄을 맞은 탓이다. 이어 △제약‧바이오(-13.0%) △운송(-19.6%) 등의 영업이익도 감소했다.

기업별로 보면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의 실적이 가장 많이 개선됐다. 지난해 1분기 1238억 원 적자에서 올해 1분기 106억 원 적자로 영업손실 폭을 크게 줄였다.

'불닭볶음면 신드롬'에 힘입어 영업이익을 큰 폭으로 끌어올린 삼양식품(003230)도 눈에 띈다. 지난해 1분기 239억 원에서 올 1분기 801억원으로 235.8% 급증했다. 해외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83% 상승한 2889억원을 기록했다.

롯데관광개발(032350)은 역대 최대 규모의 흑자를 냈다. 지난해 1분기 334억 원 적자에서 올 1분기 88억 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흑자 전환했다. 외국인 전용 카지노 사업 호조가 큰 역할을 했다.

영업이익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기업은 오상헬스케어(036220)다. 지난해 1분기 1556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지만 올 1분기 51억 원의 적자를 냈다. 이어 △휴스틸(005010) -501억원(73.2%↓) △YG엔터테인먼트(122870) -435억원(적자 전환) △차바이오텍(085660) -246억원(적자 전환) 순으로 영업이익이 줄었다.

뉴스1

(CEO스코어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jh7@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