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日 "2030년에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세계점유율 30%로 확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현재 전기차 점유율 한 자릿수 그쳐"…자동차 판매 점유율 목표 최초 제시

연합뉴스

도요타 차량 살피는 일본인들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일본 정부가 미국·중국 업체에 밀려 현재 한 자릿수인 자국 기업의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세계 시장 점유율을 2030년에 30%까지 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9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과 국토교통성은 이르면 2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자동차 산업 디지털화 전략 방안을 발표한다.

차세대 자동차로 꼽히는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은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인터넷을 통한 소프트웨어 갱신과 기능 추가를 지원하는 차량을 뜻한다.

2030년에 SDV는 세계에서 4천100만 대가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일본 정부는 그중 1천200만 대를 일본 업체가 차지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2035년에도 SDV 예상 판매량 6천400만 대의 약 30%를 일본 업체가 점유하도록 할 방침이다.

요미우리는 일본 정부가 자동차 판매 점유율 목표를 설정한 것은 처음이라고 전했다.

이어 "일본은 현재 가솔린 차량을 포함해 세계 자동차 시장의 약 30%를 장악하고 있지만, SDV 핵심이 되는 전기차 점유율은 한 자릿수에 그치고 있다"며 "일본이 자신 있는 하이브리드차의 SDV화도 모색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일본 정부는 이번에 공개하는 자동차 산업 전략 방안에서 중국 업체 등의 대두를 염두에 두고 일본이 강점을 지닌 자동차 산업에서 '글로벌 대경쟁'이 일어나고 있다는 위기감을 나타내고 일본 업체 간 협조를 촉진한다.

일본 정부가 기업에 협조를 요청하는 분야는 소프트웨어 개발, 자동 운전, 데이터 활용 등 3가지다.

이와 관련해 도요타자동차, 혼다, 닛산자동차 등 일본 완성차업체 3곳은 차량에 탑재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협력하는 방향으로 검토에 들어갔다.

이들 업체는 내년 이후에 소프트웨어와 시스템을 잇는 기반 부분 사양을 공통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자동 운전 분야에서는 자동 운전 트럭을 운행하는 새로운 회사를 설립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일본 정부는 트럭 운전기사 근무 시간 규제 시행에 대응해 주요 집하 거점 간 운송 작업을 자동 운전 차량에 맡기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데이터 활용과 관련해서는 차량 제조부터 사용, 폐기에 이르는 데이터를 공유하는 체계를 내년 4월 이후에 확립할 계획이다.

재해 시 상황 파악, 반도체 등 부품 공급망에 관한 정보 연계 등에서도 협력을 추진한다.

요미우리는 "경제산업성이 운영 주체가 돼서 인재를 육성하는 기관을 신설하는 방침도 전략 방안에 담긴다"며 "자동차 산업은 부품 등을 포함한 출하액이 연간 약 70조엔(약 609조원)으로 일본 제조업의 20%를 차지한다"고 전했다.

psh59@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