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글로벌마켓 모닝 브리핑] 엔비디아 실적 기대감에 상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가 주가를 살피고 있다. 뉴욕(미국)/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욕증시 마감


뉴욕증시는 21일(현지시간) 상승 마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공개를 앞두고 엔비디아 실적 발표에 대한 기대감이 증시 상승을 견인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6.22포인트(0.17%) 오른 3만9872.99에 마감했다. S&P500지수는 13.28포인트(0.25%) 상승한 5321.4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37.75포인트(0.22%) 뛴 1만6832.63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종가 기준으로 또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22일(한국시간 23일 오전) 발표되는 엔비디아의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증시에 훈풍으로 작용했다. 엔비디아가 호실적을 기록한다면 반도체는 물론 AI 관련 업황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증시 랠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0.64% 상승 마감했다. 이 회사의 주가는 인공지능(AI) 열풍에 힘입어 지난해 3배 이상 뛰었고, 올해 들어서만 90% 넘게 올랐다. 시장에서는 엔비디아의 실적이 최근 데이터 센터 산업의 수요가 급증으로 호조를 기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I 관련 종목도 동반 강세를 보였다. ‘매그니피센트7(M7)’ 중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는 장중 한때 432.97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워싱턴주 레드먼드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회의 빌드(Build)에서 “모든 애저 AI 이용자들은 오늘부터 GPT-4o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애플과 구글도 이날 오름세로 거래를 마감했다.

다만 22일에 발표되는 지난 FOMC 회의록을 관망하는 분위기에 상승 폭은 제한됐다. 이날 공개발언에 나선 연준 인사들은 신중론을 이어갔다. CNBC에 따르면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연설에서 “중앙은행가들은 절대(Never)라고 절대 말하지 않지만 데이터는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시사하며, 아마도 추가적인 금리 인상은 불필요할 것(probably unnecessary)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국제유가


국제유가는 2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연준의 FOMC 의사록 공개를 앞두고 원유 수요 위축 우려가 유가 발목을 잡았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근월물인 6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54달러(0.7%) 하락한 배럴당 79.26달러에 마감했다. 6월물은 이날 만기를 맞았다. 7월 인도분 WTI 가격은 0.64달러(0.8%) 떨어진 배럴당 78.66달러를 나타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7월물 브렌트유는 0.83달러(1%) 내린 배럴당 82.88달러로 집계됐다.

22일 FOMC 의사록 공개를 앞두고 이날 연준 인사들이 금리 인하와 관련해 ‘신중론’을 이어가면서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감에 타격을 줬다. 금리 인상 가능성이 멀어지면서 원유 수요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 것이다.

필 플린 프라이스퓨처그룹 애널리스트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소비를 줄이려는 징후가 있어서 시장은 미국의 휘발유 수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서 “상황이 바뀌지 않는 한 원유 시장은 다소 암울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럽증시 마감


유럽증시는 6월 기준금리 인하가 유력한 상황에서 유럽중앙은행(ECB)이 7월 추가 인하에 선을 긋자 하락했다.

범유럽증시 스톡스600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94포인트(0.18%) 하락한 522.95에 마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증시 DAX지수는 42.20포인트(0.22%) 내린 1만8726.76에, 영국 런던증시 FTSE지수는 7.75포인트(0.09%) 하락한 8416.45에, 프랑스 파리증시 CAC지수는 54.51포인트(0.67%) 내린 8141.46에 거래를 마쳤다.

주요 종목 중엔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가 2030년까지 매출을 75% 증가시키겠다는 발표에 2.22% 상승했다. 이탈리아 보험사 제네랄리는 시장 전망을 밑도는 1분기 실적 소식에 1.55% 내렸다.

투자자들은 ECB 위원들이 6월과 7월 연달아 금리를 인하하는 것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자 실망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요아힘 나겔 독일 중앙은행 총재는 유럽 언론사들과 진행한 공동 인터뷰에서 “6월 첫 인하를 한다고 해서 그다음 회의에서 금리를 추가 인하할 것이라는 의미는 아니다”고 말했다.

뉴욕금값 마감


국제금값이 3거래일 만에 하락하며 숨 고르기 장세를 보였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의 중심인 6월물 금은 전장보다 12.6달러(0.5%) 밀린 온스당 2425.9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전날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뒤 보유물량 조정을 위한 매도세가 우세했다. 외환 시장에서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서 달러의 대체 투자처로 여겨지는 금 선물에 대한 매도세가 유입된 측면도 있었다. 다만 안전자산 선호와 올해 미국 금리 인하 완화 전망은 금값의 하락 폭을 제한했다.

영국 컨설팅 업체 메탈포커스의 니코스 카발리스 매니징 디렉터는 최근 급값 추이에 대해 “전반적인 상황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며 “금에 매우 매력적인 글로벌 거시경제 및 지정학적 환경이 계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가상자산


주요 가상자산 가격은 혼조세를 나타냈다.

미국 가상자산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한국시간 22일 오전 8시 25분 현재 24시간 전보다 0.87% 하락한 7만240.11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 가격은 3.85% 급등한 3803.49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바이낸스코인은 3.71% 상승한 614.11달러에, 리플은 0.09% 오른 0.53640315달러에 거래됐다.

뉴욕 외환시장


미국 달러화가 2거래일째 주요 통화 대비 강보합세를 나타냈다.

뉴욕 외환시장에서 유로·달러 환율은 1.0859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거의 변동이 없었다. 파운드·달러 환율은 소폭 상승한 1.2722달러, 달러·엔 환율은 0.1% 하락한 155.91엔을 기록했다. 다만, 미국 투자 전문매체 마켓워치에 따르면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 대비 0.10% 상승한 104.66을 기록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들이 인플레이션이 2% 목표치에 도달할 때까지 금리 인하는 몇 달 더 기다려야 한다고 말하면서 달러가 유로화 대비 상승세를 보였다고 로이터통신이 설명했다. 다른 통화 대비 달러화는 다음 주 미국 현충일 연휴를 앞두고 대부분 보합세를 보였다.

토론토 소재 전자금융결제회사 코페이의 칼 샤모타 수석 시장 전략가는 “이번 주 경제 지표 촉매제가 부족한 가운데 통화 시장 전반에서 거래 범위가 좁아졌다”며 “달러는 연준의 메시지로 인해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투데이/배준호 기자 (baejh94@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