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성남시 2000억 원대 청소용역 입찰 재공고 논란…결과도 늑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 공무원들 제안가격 미리 확인
업체들 의혹 제기에 1차 취소 '뒷말'
반발 일자 "불필요한 오해소지" 통보


더팩트

성남시청사 전경./성남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성남=유명식 기자] 경기 성남시가 2000억 원대 청소용역 업체들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업체들의 제안가격을 평가위원회가 열리기도 전에 멋대로 확인해 말썽이다.

시는 논란이 일자 평가위원회 전날 기존 공고를 취소하고 재공고를 냈다. 일부 업체는 제안가격과 제안서 내용 등이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22일 <더팩트>의 취재를 종합하면, 성남시는 지난달 5일 나라장터에 성남시내 22개 권역에 대한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및 가로청소 대행용역’을 위한 입찰공고를 냈다.

수의계약 방식으로 청소용역 업체들을 선정해온 성남시가 신상진 시장 취임 이후 처음으로 경쟁입찰에 나선 것이다.

7월부터 2026년 12월까지 2년 6개월치 용역비만 권역별로 연간 20억~40억 원대에 달해 전체 사업비 규모만 2000억 원이 넘는다.

1차 공고에서 시는 같은 달 16~17일 제안서를 받아 25일 평가위원회 심의를 열겠다고 고시했다.

평가는 위원 9명의 정성평가(60점)과 입찰가격(20점), 경영상태·신인도 등 정량평가(20점)을 합해 최고점 업체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하지만 성남시는 평가위를 하루 앞두고 돌연 공고를 취소했다.

통상 평가위 때 일괄 공개하는 업체별 제안가격 등을 공무원들이 미리 확인한 사실이 전해지면서 업체들이 의혹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제안서를 냈던 A사 관계자는 "제안가격과 제안서 내용 등은 모두 중요한 평가기준"이라며 "업체별 기밀이 외부로 유출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반발이 거세자 담당 공무원은 같은 달 24일 ‘가격점수 사전 전산화 작업으로 불필요한 오해의 소지가 있어 제안서 평가를 연기한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업체들에게 보냈다고 한다.

시는 이후 지난 1일 재공고를 내 13일 제안서 등을 제출하도록 한 뒤 16일 평가위원회를 열었으나 그 결과는 아직 공개하지 않고 있다.

성남시 자원순환과 관계자는 "담당자와 팀장이 입찰가격 점수를 심의위원회 전 집계표를 미리 만들려 했던 것"이라며 "다른 의도는 없으나 업체에서 이의를 제기해서 지방계약법을 근거로 다시 공고를 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재공고 과정에서) 기존 업체들이 제시했던 제안가격을 외부에 공유한 사실은 없다"고 덧붙였다.

vv8300@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