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부모님 집 공짜로 내놔요”…빈집 900만채에 ‘0엔 부동산’ 인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0엔에 거래 후 점포로 태어난 부동산 사례. 모두의 0엔짜리 물건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부모님이 사는 집을 공짜로 내놓는 거래가 인기라고 일본 지역매체 테레비 니가타가 전했다.

지난 19일 테레비 니가타는 손실을 감수하고서라도 빈집을 어떻게든 처분하려는 집주인들의 이야기를 집중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일반 부동산 중개사무소에 맡기면 중개 수수료도 안 나온다며 거절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많은 이가 빈집만 다루는 전문가들을 찾아나서고 있다.

지난해 10월 1일 기준 일본 전국에 빈집이 900만채에 달했다. 니가타현에는 15만 5700채의 빈 집이 있는데 이는 1998년 조사 당시 7만 6000채보다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니가타현을 비롯해 일본 곳곳에서 빈집이 늘어나는 추세다.

집을 내놓는 이들은 부모에게 상속받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도시에 살고 있는데 부모님 집은 지방에 위치해 잘 팔리지도 않고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 세금이나 관리·보수 등 유지비는 매년 들어가 무상으로라도 양도받을 사람을 찾고 있다. 가지고 있어 드는 고정비용보다 차라리 없는 게 나아 빈집을 팔기 위한 매매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일부 노년층은 자신이 살던 집을 자녀가 받으려 하지 않아 직접 내놓는 경우도 있다.
서울신문

‘모두의 0엔짜리 물건’에 매물로 나온 홋카이도 지역 빈집. 모두의 0엔짜리 물건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매매 가격 0엔짜리 집만 전문으로 중개하는 회사도 등장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모두의 0엔짜리 물건’은 일본 내 빈집이나 토지를 공짜로라도 매도하고 싶은 사람과 사고 싶은 사람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업체다. 2019년 설립된 이 회사는 현재까지 1100건의 매물을 소개했고 80%에 해당하는 880건의 계약을 성사시켰다.

회사를 설립한 나카무라 료 대표는 “2018년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빈집을 상속받았다. 앞으로 살 일도 없을 것 같아 처분을 진행하려고 했는데 건물해체 비용, 폐기 비용, 토지 매각 예상 수입 등을 따지니 266만엔(약 2320만원)의 손실이 나더라. 나도 모르게 마이너스 자산을 상속받았다는 것을 깨달았다”며 “당시 이 집에 가게를 차리고 싶다는 사람과 만나 토지와 건물을 모두 무상 양도했고, 이것이 사업을 시작하게 된 계기”라고 밝혔다.

나카무라 대표는 “부모님이 살아계실 때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게 중요하다. 아무것도 모르고 물려받으면 때가 너무 늦을지 모른다”고 조언했다.
서울신문

국내 빈집 현황.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웃나라 이야기지만 한국도 고령화의 가속화로 빈집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 대비가 필요하다. 한국부동산원의 1기(2018~2022년) 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빈집은 9만 7867호에 달한다.

특히 시골집이 많은 남부 지역이 심한데 전북특별자치도가 2만 1899호로 전국의 22.38%나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경북이 10793호로 11.03%, 경남이 1만 613호로 10.84%, 전남이 1만 399호로 10.63%를 차지했다.

류재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