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로레알 그룹, ‘비바 테크놀로지 2024’ 참여...첨단기술 선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비바 테크놀로지 2024 로레알 그룹 부스 전경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로레알 그룹은 지난 22일(프랑스 현지 시간) 비바 테크놀로지(Viva Technology, 비바테크)에 참가해 '뷰티 테크에 기반한 각자를 위한 아름다움(Beauty for Each, Powered by Beauty Tech)’을 실현시키는 혁신 기술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해당 행사에서 로레알 그룹은 새로워진 피부 및 모발 진단 기기, 생성형 AI 기반 개인 뷰티 어시스턴트, 과학 연구 및 제품 테스트에 사용하는 첨단 ‘스킨 테크놀로지’ 등을 선보였다.

바바라 라베르노스(Barbara LAVERNOS) 로레알 그룹 연구혁신 및 기술 부문 수석 부사장은 “우리는 기술이 뷰티의 가능성을 넓히고 전 세계 사람들의 삶을 개선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라며 “로레알 그룹은 신기술을 규모 있게 도입한 최초의 뷰티 기업이며, 소비자뿐만 아니라 뷰티 업계를 위한 뷰티 테크 노력을 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개인 맞춤형 피부 및 모발 건강을 위한 혁신과 함께 로레알 그룹의 ‘스킨 테크놀로지’를 공개했다”라며, “실제 사람의 피부를 더욱 유사하게 모방한 새로운 바이오프린팅 피부로, 화장품 및 건강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흥미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투데이

랑콤 레네르지 나노 리서페이서 400 부스터(RENERGIE NANO-RESURFACER 400 BOOSTER)


로레알 그룹은 전 세계 스타트업 및 저명한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실제로 감각을 느낄 수 있는 피부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고 있으며, 인간 피부의 복잡성을 포괄하는 테스트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화장품 업계의 테스트 기준을 높이는 동시에, 헬스케어, 스타트업 및 연구 기관 관계자들도 이러한 전문 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 내부적으로 콘텐츠 제작 방식을 혁신하기 위한 툴 ‘크리에이테크(CREAITECH) 생성형 AI 뷰티 콘텐츠 랩’을 처음으로 선보였다. 크리에이테크는 마케터들이 최신 크리에이티브 기술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는 동시에 생성형 AI 실험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아스미타 두베이(Asmita DUBEY) 로레알 그룹 최고 디지털 및 마케팅 책임자(CDMO)는 “인간의 손에서, 기술은 가장 경이로운 모습을 보이며, 사람들에게 자기 표현을 위한 강력한 도구를 제공한다”며 “우리의 크리에이테크 생성형 AI 뷰티 콘텐츠 랩은 마케팅에서 사람과 생성형 AI가 함께 이룰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브랜드 맞춤형 모델을 통해 우리는 생성형 AI를 학습시켜 전 세계 37개 브랜드의 고유한 시각 코드를 인식하고 며칠에서 몇 주 안에 혁신적인 뷰티 캠페인을 진행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우리의 책임감 있는 AI 윤리 원칙을 적용한다는 점이다. 일례로, 제품의 이점을 강조하기 위해 생성형 AI로 얼굴, 몸, 머리카락, 피부 이미지를 실제와 같이 만들어 사용하지 않는다”라고 덧붙였다.

행사 첫날, 바바라 라베르노스 부사장과 아스미타 두베이 CDMO는 비바테크 2024 스테이지 1에 올라 ‘뷰티 테크를 통한 뷰티의 미래 실현’이라는 주제로 연설을 진행했다. 또한 소비자를 위한 뷰티 테크 솔루션 등을 선보였다.

이 외에도, 로레알 그룹은 메타와 협업하여 차세대 3D, AR, AI 크리에이터의 역량을 강화하고 뷰티 분야에서 새로운 창의적 영역을 개척하기 위한 새로운 뷰티 크리에이터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로레알 그룹의 브랜드 중 로레알 파리, 랑콤, 라로슈포제는 최첨단 도구와 기술을 능숙하게 활용하는 30명의 크리에이터 팀과의 협업을 통해 이러한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마케팅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이투데이/이슬기 기자 (sggggg@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