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사설]저궤도 위성통신, 글로벌 위상 앞당기려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Satellite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2030년까지 총 사업비 3199억9000만원(국비 3003억5000만원) 규모로 6년간 사업이 진행된다.

6세대(6G) 이동통신 표준 기반의 저궤도 통신위성 2기를 발사하고 지상국·단말국까지 포함된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시범망을 구축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앞서 2021년과 2022년 예타를 신청했지만 고배를 마셨다. 3번째 도전만에 통과됐다. 우여곡절 끝에 국내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자립화를 위한 여정의 첫걸음을 딛게 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스페이스X, 원웹, 아마존, 텔레샛 등 막대한 자본과 기술력을 가진 글로벌 기업이 비표준 독자 규격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글로벌 위성통신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그나마 위안으로 삼을 수 있는 건 세계 이동통신 표준화 기구(3GPP)가 저궤도 위성통신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 중이라는 점이다.

6G 표준이 완성되면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도 비표준 방식에서 탈피해 2030년대 표준 기반으로 개화될 전망이다.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과 위성의 발사까지 통상 5년 이상 시간이 소요된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우리나라가 6G 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 진입을 준비할 수 있는 적기라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는 통신 커버리지 한계를 극복할 미래 디지털 산업의 혁신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주행 자동차·선박은 물론 군사·국가 안보 차원에서 핵심 인프라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를 시작한 글로벌 기업의 노하우와 기술력을 우리나라가 단기간에 따라잡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글로벌 기업과의 격차를 가능한 빠르게 줄일 수 있도록 속도를 내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은 무엇보다 정부와 기업, 연구기관, 학계의 지혜와 역량 결집 선행이다. 그래야만 우리나라 특유의 빠른 추격자 DNA를 다시 한번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저궤도 위성통신 추격자를 넘어 선도자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선 속도 못지 않게 치밀한 준비와 고도의 집중력도 발휘해야 한다. 우리나라가 글로벌 우주 경제·기술 패권 전쟁에서 승리하려면 총력전으로 임하는 수 밖에 없다.

etnews.com etnews@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