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환자 피해 그대로 둘 수 없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지난 14일 오후 서울의대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기자회견에서 강희경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대 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21일 전면 휴진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20~21일 서울대 산하 4개 병원(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의 전체 교수를 대상으로 향후 활동 방향 관련한 투표를 진행했다.

투표 결과 전체 응답자 948명 중 698명(73.6%)이 휴진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다. 휴진을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은 192명(20.3%)이었다.

구체적인 활동 방식을 묻는 질문에는 75.4%가 '정책 수립 과정 감시와 비판, 대안 제시'가 필요하다고 동의했다. 55.4%는 범의료계와 연대가 필요하다고 답했다.(중복 응답 가능)

이외에도 65.6%의 교수들이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고려해 지속 가능한 적정 수준으로 근무시간을 조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비대위는 이같은 투표 결과에 따라 전면 휴진을 중단키로 했다.

비대위는 “우리가 전면 휴진을 중단하는 이유는 당장 지금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피해를 그대로 둘 수 없어서”라며 “무능한 불통 정부의 설익은 정책을 받아들여서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무너져가는 의료, 교육 현장을 하루하루 목도하고 있는 우리는 피가 마르는 심정으로 정부에 더 적극적인 사태 해결 노력을 요구한다”라며 “국회에서도 무능력한 불통 정부에 대한 질타가 쏟아졌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이달 26일 열릴 의료 사태 관련 국회 청문회를 환영하며, 이를 통해 이번 의료 사태를 초래한 정부 정책 결정 과정이 낱낱이 밝혀지길 기대한다”라며 “우리는 저항을 계속할 것이며, 정부의 무책임한 결정으로 국민 건강권에 미치는 위협이 커진다면 다시 적극적인 행동을 결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혜영 기자 hybrid@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