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정부 AI데이터 관리 부실… “절반은 못쓸 지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감사원 “360종 중 122종 저품질”

재해 대비 복구 시스템도 안갖춰

업무 협약 불이행 민간업체 방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관리 부실로 정부의 인공지능(AI) 데이터 구축 사업 과정에서 확보된 AI 데이터 360종 중 122종의 품질이 낮아 활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민간 클라우드센터는 물론 중앙행정기관 정보시스템도 재해에 대비한 복구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는 등 백업 체계가 미비했다.

세계일보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3일 감사원에 따르면 AI 데이터 사업 전담기관인 NIA는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정책에 따라 AI 데이터 수요기업과 공급기업 간 가교 역할을 맡아 AI 데이터 구축 및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2020∼2021년 공급업체 측이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폐쇄회로(CC)TV 교통 영상 데이터를 협약에 따라 정해진 AI 플랫폼에 최장 26개월간 제공하지 않는 등 ‘배짱 영업’을 하는데도 방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416억여원이 투입된 1인칭 시점 보행 영상 등 데이터, 735억여원이 투입된 공공행정문서 광학 문자인식(OCR) 데이터 관련 저작도구의 경우 7개월에서 길게는 1년간 제공되지 않았지만 이 역시 방치했다.

플랫폼에 적재된 AI를 개방하는 일도 소홀히 했다. 자율주행 버스 개발 노선 주행 이미지 등 데이터 32종은 6∼24개월간 방치됐다.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화면 정확도 향상을 위한 틀렌옵틱 카메라 이미지 등 19종 관련 데이터는 7∼20개월 동안 이유 없이 묵힌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식으로 제때 개방되지 않은 AI 데이터는 122종, 투입된 사업비로 환산하면 1148억원에 달한다. 설상가상 구축된 AI 데이터의 47%(168종)는 수준 이하로 활용도가 떨어졌다.

민간업체 대표 A씨는 2020년 9월∼2021년 11월 가축 행동 영상 관련 데이터 구축 사업 과정에서 축산 농가들과 짜고 농가에 지급돼야 할 CCTV 설치비 등 사업비 13억9000억원을 가로채 본인 대출 상환에 쓰기도 했다. 과기부가 인증한 민간 클라우드센터의 경우 재해복구센터 내 설비가 주센터 수준의 장비를 갖추지 못해 재해 시 복구에 취약하고 백업 체계도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민영 기자 goodpoin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