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1년에 680억'... 오픈AI, 돈 주고 WSJ 뉴스도 AI 훈련에 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픈AI, 뉴스코프와 콘텐츠 이용 계약
현금 포함 5년간 3400억 지급하기로
한국일보

챗GPT 개발사 오픈AI 로고.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뉴스코퍼레이션(이하 뉴스코프)과 콘텐츠 라이선스 협약을 체결했다고 뉴스코프 산하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2일(현지 시간) 밝혔다. AI 모델 훈련과 운영에 뉴스코프 소속 매체들의 저작물을 정당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뉴스코프는 미국 유력지 WSJ를 포함해 뉴욕포스트, 미국 대형 출판사 하퍼콜린스, 영국 일간 더타임스, 호주 유로 방송 등을 거느린 세계 최대 미디어그룹이다.

AI 개발사와의 협력은 시대 변화에 맞춘 생존 전략이라는 게 뉴스코프의 입장이다. 하지만 도리어 언론을 위기에 빠뜨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WSJ "보상액, 오픈AI·언론 계약 중 최대 규모"


이날 WSJ에 따르면 이번 합의로 오픈AI는 △뉴스코프 산하 언론사들의 뉴스 콘텐츠를 AI 모델 훈련에 이용하고 △챗GPT가 이용자 질문에 답변할 때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뉴스코프는 발행된 콘텐츠뿐 아니라 기자들의 전문지식도 오픈AI와 공유하기로 했다.

WSJ는 이에 대한 대가로 오픈AI가 5년간 2억5,000만 달러(약 3,400억 원) 이상을 지급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현금과 오픈AI 서비스 이용에 쓸 수 있는 현금성 크레디트를 포함한 액수다. 오픈AI와 계약한 다른 언론사들의 경우 대체로 계약 규모를 공개하지 않았다는 것을 전제로, 자사와의 이번 계약이 "지금까지 오픈AI가 체결한 것 가운데 최대 규모 중 하나"라고 WSJ는 주장했다. 오픈AI는 뉴스코프에 앞서 미 정치매체 폴리티코, 독일 미디어그룹 악셀슈프링어, 미국 통신사 AP, 프랑스 일간 르몽드,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과도 콘텐츠 이용 협약을 맺었다.
한국일보

로버트 톰슨 뉴스코퍼레이션 최고경영자(CEO).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로버트 톰슨 뉴스코프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임직원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오픈AI와의) 협약은 고급 저널리즘에는 프리미엄이 붙는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오픈AI가 자사에 큰 보상을 주기로 한 것이 다른 언론사 대비 경쟁력이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는 자찬이었다.

다만 뉴스코프는 이달 초 비슷한 계약을 체결한 구글로부터는 연간 500만~600만 달러(68억~81억 원)를 받기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실이라면 오픈AI로부터 받기로 한 연평균 5,000만 달러(약 680억 원)와 비교해 최대 10배나 적다는 얘기다. 업계에서는 △AI 개발사가 평가한 개별 언론사의 뉴스 가치에 더해 △뉴스를 AI 훈련에만 쓰기로 했는지, 혹은 챗봇 답변에도 활용하기로 했는지 여부 △현금 외 크레디트로 얼마를 주기로 했는지 등이 보상 총액 차이를 만들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일보

챗GPT 개발사 오픈AI 로고와 로봇 이미지.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언론 생존 위한 것" vs "위기 부를 것"


톰슨 CEO는 오픈AI와 협력을 결정한 배경에 대해 "디지털 시대에 '창작자'의 희생으로 '배급업자'가 득세하면서 많은 언론사가 사라졌다"는 말로 설명을 대신했다. 뉴스 유통 채널이 종이 출판물에서 구글 검색이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바뀔 때 언론사(창작자)들이 구글과 메타 등(배급업자)으로부터 제대로 된 뉴스 제공 대가를 받지 못한 탓에 많은 언론사가 고사했던 전례를 되풀이해선 안 된다는 의미다. 그러면서 그는 "이제 이 천우신조의 기회를 최대한 이용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고도 말했다. AI 개발사와 동등한 위치에서 협상이 가능할 때 가능한 많은 대가를 약속받을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오히려 이 같은 계약이 언론의 영향력을 약화시킬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워싱턴포스트는 "AI가 뉴스 관련 질문에 직접 답할 수 있게 되면, 사람들이 언론사에 (구독료 같은) 비용을 지불하는 대신 단순히 챗봇과 대화에서 정보를 얻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AI 개발사들이 지금까지 언론사 뉴스를 맘대로 긁어다 AI 훈련에 이용해 온 것에 대해 '면죄부'를 주는 이 될 것이라는 비판도 적잖다. 현재 뉴욕타임스와 시카고트리뷴 등 일부 언론사들은 "오픈AI가 우리 기사를 허락 없이 갖다 썼다"며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실리콘밸리= 이서희 특파원 shle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