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故박보람 ‘급성알코올중독’…얼마나 위험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커피, 수분, 비타민, 기타 치료제 등은 술에서 깨는 데 도움주지 않는다”

세계일보

지난달 15일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가수 박보람 빈소에 고인의 영정사진이 놓여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난 가수 박보람(30)의 사망 원인이 급성알코올중독으로 추정된다는 국립과학수사연구소(국과수)의 최종 부검 결과가 나왔다.

23일 남양주남부경찰서에 따르면 경찰은 최근 국과수로부터 '(박보람) 급성알코올중독으로 사망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내용의 최종 부검 결과 보고서를 받았다.

사망 당시 박보람은 간병변과 지방간 등에 의한 질병으로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급성알코올중독 외 다른 사망 추정 원인은 발견되지 않았다.

박보람은 지난달 11일 오후 9시55분께 남양주시 지인의 집에서 의식을 잃고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1시간여만에 숨졌다.

당시 박보람은 여성 지인 2명과 소주 1병 정도를 나눠 마신 것으로 알려졌다. 화장실에 간다고 일어선 뒤 돌아오지 않는 것을 이상하게 여긴 지인이 박보람을 발견했을 때는 이미 심장이 멎은 상태였다.

뉴시스와 의료계에 따르면 급성 알코올중독은 짧은 시간에 많은 술을 마셔 집중력 저하, 흥분, 발음장애 등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 의식을 잃어버리는 것이다.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른 증상을 보면 65㎏ 성인 남성 기준으로 혈중 알코올 농도가 0.10%가 되면 운동에 이상 현상이 나타나며, 사고 위험성이 10배 증가한다.

0.20%가 되면 전 운동 영역의 기능이 일부 부분 억제되며, 감정조절 영역까지 영향을 받는다. 0.40%에서는 깊은 마취 상태와 같은 혼수상태가 된다. 0.50%는 호흡 및 심장 박동에 영향을 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조선대병원은 순환기내과 의학상식에서 급성알코올 중독에 대해 "100% 순수 알콜농도로 체중당 5~8g을 단시간내에 먹는 경우"라며 "체중이 60㎏이라고 할 때 보통 소주 4병과 양주 2병 정도가 그 양에 해당한다"라고 설명했다.

급성 알코올중독을 가져오는 알코올은 간에 영향을 준다. 간은 알코올이나 알코올의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에 의해서 손상을 받는다. 알코올 중독 초기에는 간 조직에 지방이 끼여들어 지방간이 된다. 지방간이 있는 경우에 젊은 연령에서도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알코올 자체가 직접 변화를 일으켜 간경화가 되기도 한다. 간경화는 지방간과는 달리 술을 끊어도 좋아지지 않으며 간의 재생능력도 상실된다. 지방간에서 간염이 되었다가 간염이 시간이 지나면서 간세포의 파괴가 오고 간이 쪼그라드는 간경경화가 발생한다. 간경화에서 결국 간암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많아 관리가 필요하다.

급성 알코올중독을 위한 특정 해독제는 없다. 글로벌 제약사인 MSD는 "많은 양의 알코올 섭취 또는 알코올 금단에 의해 중등증이나 중증 증상이 나타나면 때 응급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응급 치료로 ▲환자의 의식이 돌아올 때까지 관찰 및 모니터링 ▲혼수 상태에 있거나 호흡이 억제될 경우, 기도에 튜브를 삽입해 구토 및 분비물에 의한 질식을 막아 호흡에 도움이 되도록 함 ▲탈수 또는 저혈압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필요하다면 수액을 정맥 내로 투여 등을 제시했다.

다른 음료 등을 섭취하는 것도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MSD는 "급성 알코올 중독에 대한 특정한 해독제는 없다"며 "커피, 수분, 비타민, 기타 치료제 등은 술에서 깨는 데 도움을 주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