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서울 동북부의 교통 요지로 떠올라, ‘힐스테이트 청량리 더퍼스트’ 눈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동북부지역 최고의 교통 요지로는 단연 청량리역 일대이다.

과거부터 서울의 핵심지역 중 하나였던 청량리역은 현재 1호선·경원선·분당선·경의중앙선·경춘선·KTX강릉선 등 총 6개의 노선이 지나기 때문이다. 게다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B노선(송도-마석) GTX-C노선(덕정-수원) 면목선(청량리-신내동) 강북횡단선(청량리-목동) 등 4개 노선 신설이 예정되면서 앞으로 총 10개 노선이 지나는 서울 최고의 교통 허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GTX 2개 노선이 정차하는 곳은 서울역, 삼성역과 함께 서울에서 단 3곳에 불과하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청량리역은 15만 명이 이용하지만 2030년에는 30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청량리역 주변에서는 교통 요지로의 변신에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인근 단지들에 수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입주를 진행한 ‘힐스테이트 청량리 더퍼스트’ 오피스텔 단지가 입주 개시 3개월 만에 잔금 납부율 90%를 넘어서면서 높은 관심을 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상업시설의 경우 95%가 넘는 계약자들이 잔금 납부를 완료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더욱 높아지는 추세다.

부동산 전문가는 “교통 호재가 이어지면서 일대 수혜 단지들에 실수요자는 물론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청량리역 인근 주변에 열기가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면서 “교통 허브로의 환골탈태가 기대되면서 유동 인구는 물론 주변 배후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청량리역 일대는 이 외에도 향후 개발계획이 계속 진행 중이어서 미래가치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앞으로도 청량리6구역(GS건설), 7구역(롯데건설)·8구역(롯데건설), 제기4구역(현대건설)·6구역(SK에코플랜트)은 시공사가 선정되어 이미 사업을 진행 중이고 추가로 미주아파트와 전농9·12구역 등의 정비사업들이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어서 지역적인 가치가 더욱 상승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젊은 인구가 유입되면서 청량리 일대 상권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청량리역 역사 내 롯데백화점이 지난달 리모델링을 하면서 젊은 층 유동 인구의 발길이 잦아지고 있다. 지하철 1호선 등 지하철·철도 접근성이 좋아 카페와 식당가 등으로 구성된 롯데백화점 1층은 빈자리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사람이 많다.

부동산 전문가는 “청량리역 일대처럼 교통호재와 개발 계획으로 인해 호재가 많은 곳은 상대적으로 가치가 떨어지지 않아 수요가 풍부하기 때문에 불황에도 꾸준한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면서 “향후 부동산 투자 및 입주 등을 고려할 때에도 이러한 입지와 개발 호재 요소를 다양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진 기자 peng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