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부산시, 임진왜란 제432주년 충렬사 제향 봉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5일 오전 10시 충렬사 본전·의열각, 임진왜란 발발 제향 봉행

매년 5월 25일 송상현 부사 등 93신위 순국선열 호국정신 추모

부산시는 임진왜란 발발(1592년) 432주년을 맞아 25일 오전 10시 충렬사 내 본전과 의열각에서 순국선열들의 호국정신을 추모하고 숭고한 뜻을 기리는 ‘충렬사 제향’을 봉행한다.

제향(祭享)이란 나라에서 지내는 제사를 뜻하며, 봉행(奉行)은 제사나 의식 따위를 치름을 말한다.

이날 행사는 이준승 행정부시장을 비롯해 국회의원, 시·구의회 의원, 유림, 선열의 후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박중묵 부산시의회 부의장이 초헌관(나라에서 제사를 지낼 때 임명되는 제관)을 맡아 제향 봉행을 진행한다.

제향 봉행은 충렬사 본전과 의열각에서 동시에 진행되며, 개제 선언을 시작으로-제관 제배(제관이 절을 함)-참례자 배례(참가자들이 절로 예를 표함)-헌관의 분향과 헌작(헌관이 향을 피우고 술을 올림)-시 행정부시장의 대통령 헌화 대행과 추모사-참례자 분향 순으로 약 50분간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제향 의식에 참여하는 제관은 ▲초헌관(박중묵 부산시의회 부의장) ▲아헌관(정재우 부산진첨절제사 정발 장군 후손대표, 이명남 성균관여성유도회 부산시 회장) ▲종헌관(강인중 시민 제관) ▲축관(김정환 충렬사 안락서원) ▲집례(양덕진 충렬사 안락서원) 등 9명이다.

또 제향 봉행 과정을 LED 전광판으로 실시간 중계해 참례자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이들의 참여 확대를 도모할 예정이다.

이준승 행정부시장은 “선열들의 애국 충정과 희생정신을 기리는 추모 제향 봉행으로 호국선열들의 숭고한 위업을 되새기고 부산과 겨레의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가는 뜻깊은 장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현충 시설인 충렬사에는 동래부사 충렬공 송상현, 부산진첨사 충장공 정발, 다대진첨사 윤흥신을 비롯해 임진왜란 당시 왜적과 싸우다 전사하신 민·관·군 등 호국선열 93신위가 모셔져 있으며, 시는 매년 5월 25일 순국선열들을 추모하기 위해 충렬사 제향을 봉행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임진왜란 발발(1592년) 432주년을 맞아 25일 오전 10시 충렬사에서 순국선열들의 호국정신을 추모하고 숭고한 뜻을 기리는 ‘충렬사 제향’ 봉행한다.(지난해 제향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남취재본부 김철우 기자 sooro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