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난기류로 이런 부상 처음"…싱가포르항공 부상자들 척추·뇌 손상 발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영구마비 여부 등은 지켜봐야"

비행 중 극심한 난기류를 만나 태국 방콕에 비상 착륙한 싱가포르항공 여객기 탑승객 상당수가 난기류 사고로는 이례적으로 상당수가 두개골과 뇌, 척추 등을 다친 것으로 전해졌다.

아시아경제

난기류로 태국 방콕 수완나품 국제공항에 비상 착륙한 싱가포르항공 SQ321편 내부 모습. 산소마스크가 주렁주렁 매달려 있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3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부상자 치료를 맡은 아디눈 키티라 타나파이불 방콕 사미티벳 병원 원장이 "두개골과 뇌 손상으로 치료받는 승객은 6명이고, 척추를 다친 승객도 22명에 이른다"라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또 그는 "근골격계 등을 다친 경우도 13명으로 집계됐다"며 "난기류 때문에 이런 종류의 부상을 한 환자를 치료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아디눈 원장은 이 병원으로 옮겨진 승객 가운데 17명이 이미 수술을 받았고, 이 가운데 9명은 척추를 다쳤다고 전했다. 그는 "부상자들의 나이가 2살부터 83세까지 다양하다"며 "중환자들에게 영구적 마비 등 후유증이 남을지 예단하기는 이르다. 의료진이 수술 후 근육 기능 회복 여부를 주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시아경제

난기류로 태국 방콕 수완나품 국제공항에 비상 착륙한 싱가포르항공 SQ321편 사고 당시 모습. [이미지출처=스카이뉴스]


지난 21일 영국 런던에서 승객 211명과 승무원 18명을 태운 채 싱가포르로 향하던 싱가포르 항공 SQ321편 여객기는 미얀마 상공에서 난기류를 만나 약 3분 만에 1800m 급강하한 뒤 태국 방콕에 비상 착륙했다. 이 사고로 심혈관계 기저질환을 지닌 73세 영국인 남성이 사망하고 104명이 다쳤다고 전해진다. 싱가포르 항공은 사고 이튿날인 22일 오전 방콕에 특별기를 보내 다치지 않았거나 경미한 상처를 입은 승객 131명과 승무원 12명을 당초 목적지였던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으로 옮겼다.

이어 싱가포르항공은 안전벨트 착용 관련 기내 안전 규정을 강화하기로 했다. 싱가포르항공은 안전벨트 착용 등이 켜지면 기내식 서비스를 중단하기로 했다. 난기류 등으로 안전벨트 착용 신호가 울리면 승무원도 모든 음료와 음식 제공을 중단하고 좌석에 앉아 안전벨트를 매야 한다. 기존에는 난기류 현상이 나타나면 승객에게 안전벨트 착용을 권하고 커피 등 뜨거운 음료 제공만 중단했다. 싱가포르항공 대변인은 "승객과 승무원 안전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관련 규정을 계속 재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싱가포르 당국이 사고 경위와 원인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가운데 전문가들 사이에선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로 인해 과거보다 난기류 발생 빈도와 위력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난기류로 인한 부상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좌석에 앉아있을 때는 항상 안전벨트를 매야 한다고 외신은 당부했다.

구나리 인턴기자 forsythia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