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1인당 25만원, 지원금 왜 주냐”…국민 과반, 민생지원금 반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민주 지지자 일부도 반대

尹지지율 4주째 20%대 횡보


매일경제

지난 3월 24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4일 서울 송파구 잠실 새마을전통시장을 방문해 민주당 후보의 지지를 호소하고 있는 모습. 이재명 대표의 총선 공약인 ‘전국민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과 관련한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이 주장하는 민생회복지원금에 대해 국민 과반이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선 공약으로 전국민 1인당 25만원 지급을 내걸었던 민주당은 정부가 이를 수용하지 않자 22대 국회가 열리면 법안을 발의해 반드시 관철하겠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24일 한국갤럽이 발표한 정기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1%는 민생지원금을 지급해선 안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지급해야 한다는 의견은 43%, 판단 유보는 6%였다.

이념과 지지 정당에 따라 찬반이 갈렸지만 이번 사안에 대해 민주당 지지층의 결집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로 인해 평균적으로 과반 반대가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자신을 보수 성향이라고 답한 응답자 중에는 70%가 반대 의사를 밝혔고, 진보성향 응답자 중에선 65%가 찬성했다. 국민의힘 지지자는 반대 79%, 찬성 16%였다. 반면 민주당 지지층은 찬성 68%, 반대 26%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 21~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 1001명(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에게 실시했고 응답률은 11.9%였다. 자세한 여론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더불어민주당이 관철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는 민생회복지원금에 대해 국민 과반이 반대하고 있다는 한국갤럽 조사가 24일 나왔다.

양당 지지층의 찬반 의견은 예상대로 엇갈렸으나 결집도를 놓고 보면 국민의힘 지지층이 상대적으로 더 단단하게 뭉쳐있다.

자신을 중도층이라고 밝힌 응답자 중에서는 40%가 찬성을, 53%가 반대를 표명했다.

40대·50대는 찬성이 오차범위 내에서 우위였고 60대·70대 이상은 반대가 더 많았다. 이는 일반적 여론조사에서 나타나는 대로 지지 정당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주목되는 점은 젊은 층에서 오히려 찬성 의견이 높지 않았다는 것이다. 20대 이하는 찬성과 반대가 각각 45%, 44%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30대는 찬성 33%, 반대 56%로 반대가 훨씬 우세했다.

매일경제

한편 윤석열 대통령 국정지지율은 20%대에서 횡보세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 중 24%가 긍정 평가했고 67%는 부정적으 평가했다. 긍정·부정 평가 모두 직전 조사인 2주 전과 차이가 없었던 것이다. 윤 대통령 지지율은 한국갤럽 기준으로 총선 이후 6주간 4번의 조사에서 모두 20%대를 기록하고 있다.

긍정 평가 이유로는 ‘외교(11%)’, ‘의대 정원 확대’(11%) 등이 꼽혔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경제·민생·물가’(14%), ‘소통 미흡’(10%), ‘독단적·일방적’(8%), ‘거부권 행사’(7%) 등이 거론됐다.

정당 지지율은 민주당 31%, 국민의힘 29%, 조국혁신당 11%, 개혁신당 4% 순으로 집계됐다. 국민의힘은 직전 조사 대비 5%포인트 급락했고 민주당은 1%포인트 상승했다.

한국갤럽은 “지지도 수치상으로 보면 국민의힘만 2주 전보다 5%포인트 하락해 거의 변화가 없는 다른 정당들과 대비된다”며 “국민의힘은 총선 백서를 둘러싼 당내 갈등을 겪는 한편, 대통령의 재의 요구에 따른 ‘채상병 특검법’ 재의결 표를 단속 중”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