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오바마는 무슬림…사람 매일 돌 먹어야" 황당오답…구글 또 구차한 변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생성형 AI 탑제한 검색 엔진, 잇단 오답

구글 “자주 하지 않는 질문으로 나온 오류”

생성형 인공지능(AI) 제미나이를 탑재한 구글의 새로운 검색 엔진이 오답으로 다시 논란이 됐다. 이에 구글은 “흔치 않은 질문에서 나오는 오류”라고 해명했다.

24일(현지시간) 미 정보통신(IT) 매체 더버지 방송 등은 소셜미디어(SNS)에 ‘AI 개요’(Overview)의 오답 사례가 잇따라 게시됐다고 보도했다. ‘AI 개요’는 지난 14일 구글이 연례 개발자 회의에서 발표한 새로운 검색 기능이다. 기존 검색 엔진에 생성형 AI 제미나이를 탑재해 이용자 질문에 빠르게 요약된 답변을 내놓는 ‘AI 개요’에 대해 당시 “구글 검색 등장 이후 25년 만의 가장 큰 변화”라는 평가가 나온 바 있다.

아시아경제

그러나 해당 기능은 사실과 맞지 않거나 상식적이지 않은 답변을 여러 차례 내놓은 것으로 드러냈다. SNS에 게시된 사례를 보면 “미국에 몇 명의 무슬림 대통령이 있었는가”라는 질문에 “버락 후세인 오바마라는 무슬림 대통령이 한 명이 있었다”는 오답을 내놨다.

또 “사람은 하루에 얼마나 많은 돌을 먹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UC 버클리 지질학자들에 따르면 하루에 적어도 하나의 작은 돌을 먹어야 한다”고 답을 하는가 하면, “개를 뜨거운 차에 놓아두는 것은 항상 안전하다”는 비상식적인 답변도 나왔다.

이에 대해 구글 측은 “이런 오답 사례는 대개 사람들이 자주 하지 않는 질문에서 나온 것”이라고 해명했다고 더버지는 전했다.

구글의 생성형 AI 오답이 도마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월 구글은 제미나이에 이미지 생성 기능을 추가했다가 20여일 만에 서비스를 중단한 바 있다. 미국 건국자나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등 역사적 인물을 유색인종으로 묘사하고, 독일 나치를 아시아인종으로 생성했기 때문이다.

작년 2월에도 AI 모델 ‘바드’를 시연할 당시, 태양계 밖의 행성을 처음 찍는 데 사용된 망원경을 유럽남방천문대의 초거대 망원경(VLT)이 아닌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라고 답해 오답 논란이 일어났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