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강남·서초·용산 아파트, 전고점 '눈앞'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서울 아파트 가격 회복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이 중에서도 강남·서초구와 용산구 등 고가 지역은 2~3년 전 당시 고점을 거의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부동산R114가 서울 시내 아파트 116만가구를 표본으로 가구당 평균 가격을 조사한 결과, 지난 17일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은 12억9921만원으로 전고점을 찍은 2021년(13억7147만원)의 95%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가 표본으로 삼은 아파트 116만가구는 서울에서 임대아파트 물량과 소규모 '나 홀로 아파트'를 제외한 대부분의 아파트를 포함한다.

가구당 평균 가격은 호가와 시세, 지역별 평균 가격 등을 반영해 산정한 수치다.

아파트 가격이 가장 많이 회복된 곳은 강남구와 용산구로 나타났다. 강남구 아파트는 평균 가격이 25억8135만원으로 전고점을 찍은 2021년(26억949만원)의 99% 수준까지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용산구는 18억6643만원으로 전고점이었던 2022년(18억8432만원)의 99% 수준까지 회복됐다.

서초구는 27억7147만원으로 전고점(2022년·28억3111만원)의 98%까지 올라온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전체 평균 가격(12억9921만원)이 전고점(2021년) 대비 95% 수준임을 감안하면, 이들 지역의 아파트 가격은 상대적으로 더 빨리 회복되고 있는 것이다.

종로구(98%), 영등포·양천구(97%), 성동·은평구(96%), 중랑구(95%) 등도 서울 평균 이상의 회복 수준을 나타냈다.

아파트 가격 회복이 가장 더딘 곳은 도봉구로 조사됐다. 6억2624만원으로, 전고점(2021년·7억3975만원) 대비 85% 수준에 머물러 있다. 도봉구는 서울 아파트 가격이 9주 연속 오르는 동안에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다가 지난주에야 보합(0.00%)을 기록한 바 있다.

관악구(86%), 노원·강북구(87%), 강동구(88%), 중구(89%), 구로·성북구(90%), 강서구(91%), 동대문구(92%), 동작·서대문·송파구(93%), 마포·광진구(94%) 등은 평균을 밑돌았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고가 지역이 먼저 가격을 회복하고, 나머지 지역이 갭을 메우며 따라가는 모양새"라며 "아직 회복이 더딘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 서울 외곽 지역도 결국 키 맞추기 현상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규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