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한중일 정상회의 열리는 날···북한 “내달 4일 전에 위성발사” 일본에 통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해상 위험구역 3곳 설정 계획도 통보

북, 올해 3개 군사정찰위성 발사 공언

경향신문

지난해 11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인근에서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 장면을 지켜보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27일 위성 발사 계획을 일본 정부에 통보했다. 이날은 서울에서 한·중·일 정상회의가 열린다.

일본 NHK 보도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부터 내달 4일 사이 인공위성을 실은 로켓을 발사하겠다며 그에 따른 해상 위험구역 3곳을 설정하겠다는 계획을 통보했다.

통보된 위험구역은 북한 남서쪽 서해상 2곳과 필리핀 동쪽 태평양 해상 1곳 등 총 3곳으로, 모두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밖이다.

이에 따라 일본 해상보안청은 현지시간 이날 0시부터 내달 4일 0시까지 3개 해역에 항행경보를 내리며 선박에 낙하물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북한의 위성 발사 통보에 정보 수집과 분석을 빈틈없이 하고 한미 등과 협력해 발사 중지를 강력히 촉구하는 한편 예측하지 못한 사태에 대비해 철저한 태세를 확립하라고 관련 부서에 지시했다.

아울러 일본 정부는 이를 일본 안보에 대한 중대한 도발로 규정하고 중지를 요구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발사를 강행하는 것은 우리나라(일본)의 안전보장에 대한 중대한 도발 행위”라고 비판하면서 “베이징의 대사관 경로를 통해 북한 측에 중지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앞서 지난해 11월에도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이번과 같은 해역을 해상 위험구역으로 설정한 바 있다. 당시 발사한 정찰위성은 일본 오키나와 본섬과 미야코지마 사이 상공을 통과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발사해 궤도에 위성을 올린 뒤 올해 추가로 3개를 발사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북한이 위성 발사 계획을 통보한 27일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일본 총리, 리창(李强) 중국 총리는 서울에서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를 열고 3국의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박은경 기자 yama@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