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전남대, '글로컬대학 30' 겨냥 지역산업 연계한 5개 특화캠퍼스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전남대 '광주전남 초광역메가캠퍼스' 구축 그래픽.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남대(총장 정석택)는 광주의 9대 대표산업, 전남의 10대 핵심산업을 뒷받침하기 위해 행정적 경계를 뛰어넘는 '광주·전남 초광역 메가 캠퍼스' 5개를 구축해 '글로컬대학 30 사업' 혁신기획서를 완성하고 세부실행계획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광주·여수·회순 캠퍼스는 지역별 특화산업의 거점으로, 고흥과 나주에는 미래형 캠퍼스를 각각 신설한다. 각각의 지역별 특화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동시에 지역혁신을 통해 경제활성화와 이를 통한 정주 인구 증가 등 광주·전남지역 전체를 균형있게 활성화시켜 나가겠다.

광주캠퍼스는 인공지능(AI)·반도체·메디헬스케어의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을 비롯해 기술개발 및 인프라 고도화를 추진하고 이를 기반으로 'AI+X' 융합연구 및 실증지원을 도모하기로 했다. 교육발전특구와 연계해 초·중·고 및 지역민 대상의 AI 교육을 확대하는 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여수캠퍼스는 세계 최대 규모의 석유화학단지와 우수한 관광·수산·해양 자원을 감안해 고급기술인력의 공급기지 역할에 충실하면서 탄소 중립, 수산·해양 스마트기술 협력 및 문화관광산업 인재 양성으로 전남도의 블루 이코노미 정책을 뒷받침하기로 했다.

화순캠퍼스는 의과대학과 화순전남대병원을 백신산업특구와 연계해 바이오헬스 산업의 혁신 허브로 키워나가기로 했다.

고흥지역에는 우주항공 분야 역량 집적을 위해 우주항공센터를 설립하고, 폐교를 활용해 '우주항공 분야 캠퍼스'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나주에도 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실습농장을 스마트 팜 기반 '미래농업교육 캠퍼스'로 전환하는 것을 서두르고 있다.

정성택 전남대 총장은 “대학은 더 이상 지역소멸의 희생양이 아니라, 지역소멸을 막는 보루이자, 지역 활성화의 거점으로 재구조화해야 한다.”라며 “이를 위해 전남대는 거점대학으로서 광주·전남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새로운 도전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김한식 기자 hskim@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