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尹 "정부·경제인 힘 모아 한중일 협력 차원 높여야"(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중일 정상 비즈니스 서밋 참석…"기업의 투자는 3국 관계의 안전판"

기시다 "자유·공정 비즈니스 기반 확보"…리창 "문화적 공감대 협력 촉매제"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8차 한중일 비즈니스 서밋에서 연설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4.5.27/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나연준 김정률 정지형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27일 "정부와 경제인이 힘을 모아 한중일 3국 협력의 차원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8차 한중일 비즈니스 서밋' 모두발언에서 "우리 3국은 전 세계 GDP(국내총생산)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거대 경제권으로 이제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경제를 선도하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윤 대통령은 4년 5개월 만에 재개된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리창 중국 총리와 공동 기자회견을 마친 후 함께 이날 행사에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저는 오늘 이 자리에서 3국의 정부와 기업이 함께 지향해야 할 3가지 경제협력 방향을 제안한다"며 "먼저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역내 교역과 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3국 간 교역투자 플랫폼인 RCEP(역내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알셉)의 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2019년 이후 중단된 한일중 FTA(자유무역협상) 협상을 조속히 재개하여 경제협력 기반을 업그레이드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무엇보다 기업의 투자는 3국 관계의 안전판"이라며 "외국 투자자들이 예측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비즈니스 환경을 만들기 위해 3국 정부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한일중 3국은 이제 동북아를 넘어 글로벌 이슈에 함께 대응해야 한다"며 "기후위기는 개별 국가의 노력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인류 공동의 문제로, 한일중 3국도 탄소 중립을 선언하고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에 동참하고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원전, 수소, 탄소 포집, 활용, 저장 등 무탄소 에너지의 강점을 보유한 우리 3국이 함께 힘을 합친다면 글로벌 기후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 수 있다"며 "작년 10월 한국에서 출범한 무탄소 에너지 연합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좋은 플랫폼이 될 것이다. 한일중 기업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기대한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다음 달 열리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언급한 뒤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과 중국도 각자의 성장 노하우에 기반해 글로벌 사우스와의 개발 협력에 노력하고 있다"며 "인류와 보편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우리 3국이 힘을 모아 성과를 극대화해야 한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한일중+X' 협력 프레임웍을 통해 사막화 방지, 해양생태계 보존, 플라스틱 오염 감축 등 취약국 지원에 함께 나서야 한다"며 "이러한 공동협력은 3국의 기업에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도 열어줄 것"이라고 밝혔다.

기시다 총리는 "기업들이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3국 정부는 자유롭고 공정한 비즈니스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기시다 총리는 "정부 간뿐 아니라 관계 기관과 산업 간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관련 산업의 공동 발전을 지향하겠다"고 했다.

리 총리는 "한중일 3국은 문화적으로 서로 통해 마음이 서로 잘 맞는 이웃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리 총리는 "문화의 공감대를 잘 활용해 이해 촉진, 신뢰 증진, 협력 강화하는 촉매제로 삼아 서로 마음이 통하는 동반자 관계, 파트너 관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날 행사에는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도쿠라 마사카즈 일본 경제단체연합회 회장, 런홍빈 중국 국제무역촉진위원회 회장 등 3국 기업인을 비롯해 240여 명이 참석해다,

정부에서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 등이, 대통령실에서는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박춘섭 경제수석, 김태효 안보1차장 등이 참석했다.

yjra@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