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사설] 공보만 신경, 장병 안전은 뒷전이었던 임성근 사단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한겨레TV ‘고 채 상병 죽음의 공동정범’ 영상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병대 채 상병 순직 때 임성근 당시 해병대 1사단장이 집중호우로 물살이 거센 상황에서도 수중수색을 압박한 정황이 추가로 드러났다. 26일 한겨레티브이(TV) 보도를 보면, 채 상병이 숨진 지난해 7월19일 아침 해병대 1사단 산하 7여단장은 포병7대대장에게 “사단장님이 (오늘) 너희 1개 중대 보신다고 하셨는데 몇 중대로 안내하면 되냐”고 물었다. 이에 포병7대대장은 “그 물속에 좀 들어가 있는 거 보려면 간방교 일대로 가면 될 것 같다”고 답했다. 임 사단장이 수중수색을 원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대화 내용이다.



현장 지휘관들이 수중수색의 위험성을 우려했지만 상부에서 수색을 강행하도록 했다는 정황과 증언은 이미 한둘이 아니다. 채 상병이 숨지기 몇시간 전 공보정훈실장이 언론에 보도된 수중수색 장면 등을 메신저로 보내자, 임 사단장은 “훌륭하게 공보활동이 이뤄졌구나”라고 칭찬까지 했다. 그런데도 임 사단장은 수중수색을 지시하지도 않았고, 수중수색이 이뤄지고 있다는 인식조차 없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임 사단장은 급류에 휩쓸려 채 상병이 실종되고 나머지 장병들은 구조됐다는 보고를 받은 뒤 포병7대대장과 한 통화에서 “(생존 장병들) 지금 다 어디 있냐. 얘들 언론 이런 데 접촉이 되면 안 되는데…. 트라우마 이런 건 나중 문제고 애들 관리가 돼야 하거든”이라고 말했다. 휘하 장병들의 생명·안전보다 사고가 언론에 어떻게 비칠지부터 걱정한 것이다. 지휘관으로서 기본적 자질조차 의심되는 태도다.



이런 임 사단장을 보호하기 위해 대통령실과 국방부가 전방위적으로 움직였다는 게 채 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이다. 지난해 7월30일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은 해병대 수사단 수사 결과를 보고받으면서 임 사단장을 현장 지휘에서 배제하는 조처를 승인해놓고 하루 만에 ‘정상 출근시키라’고 말을 바꿔 지시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격노가 있었다는 대통령실 수석보좌관 회의가 열린 날이다. 이 장관은 같은 날 우즈베키스탄으로 출장을 갔는데, 현지에서 이 장관의 군사보좌관이 해병대 사령관에게 연락해 임 사단장의 정상 근무 여부를 거듭 확인했다. 장관 윗선의 관심이 아니고서는 설명하기 힘든 일이다.



임 사단장은 채 상병 사망 원인과 수사 외압을 규명하는 데 핵심 인물이다. 하지만 경찰은 사건 발생 열달이 지나서야 소환조사했다. 수사 의지가 있는지 의문스럽다. 특검이 필요한 이유다.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