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부동산 이모저모

“여보, 당장 집팔고 서울 아파트 사자니까” 서울 집주인 서울 사람 아닙니다 [부동산36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 아파트 산 외지인, 1천명 넘어

서울 아파트 거래, 올초 대비 2배 ↑

상업용 부동산 시장도 지방은 ‘텅텅’

“지방 자산가들도 서울 매물만 찾아”



헤럴드경제

서울 용산구 아파트 및 업무단지 단지 모습. 임세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고은결 기자] 수도권 집중 현상에 지방은 급격한 인구 감소로 소멸 위기에 처한 가운데, 부동산 시장도 비슷한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다. 최근 가격 조정 국면에서 상대적으로 타격을 덜 받은 서울 부동산은 가장 먼저 가격 회복세를 보이며 안전자산으로서의 존재감을 부각했다. 이에 아파트·빌딩·상가 등을 막론하고 ‘서울 물건’만 찾는 투자자들이 늘고, 지방 부동산 시장은 가격·거래량 모두 살아나지 않아 차게 식어가는 분위기다. 서울 부동산 시장이 블랙홀처럼 투자 수요를 빨아들이며 자산 재편 흐름을 가속화하는 모습니다.

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주거용 부동산 시장에서 서울 아파트를 사려는 외지인이 최근 부쩍 늘고 있다. 지난 4월 서울 아파트 매입자 4840명 중 1061명은 서울 외 거주자였다. 서울 아파트를 산 외지인이 월 1000명을 넘은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8개월 만이다. 전체 아파트 거래가 늘어나는 가운데 외지인 거래도 활발해지고 있다.

자치구별로 보면 송파구(94명), 영등포구(72명), 성동구(68명), 마포구(66명), 구로구(65명), 노원구(64명) 등 순으로 외지인 투자가 많았다. 집값 조정 시기에 입지, 가격대 등을 고려해 이들 자치구에서 선제적으로 투자가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강남구는 63명의 외지인이 사들였다. 부동산 침체기에 지방 주택이 팔리지 않아 ‘강남 아파트’를 찾는 지방 자산가들이 과거처럼 많지는 않지만, 발걸음은 이어지고 있단 전언이다.

거래량 자체도 서울에서 두드러지게 늘고 있다. 지난 4월 서울 아파트 거래는 4840건으로, 올해 1월(2456건) 대비 2배 가까이 늘었다. 1년 전(2981명)과 비교하면 약 62.4% 증가한 수준이다. 서울·경기 등 수도권 외에 4월 거래량이 3000건이 넘는 지역은 경남(3160건)밖에 없었다.

서울과 지방 간 인구와 경제 격차 등이 복합 작용하며 부동산 양극화가 깊어지는 가운데, 서울 집을 찾는 원정 투자는 계속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부동산 침체기에도 서울 집값이 다른 지역 대비 가격 방어가 이뤄지며 안전자산이란 인식이 굳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최근 들어 서울과 지방의 아파트 가격 흐름은 희비가 엇갈렸다. 지역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보면, 지난 4월 서울은 전월 대비 0.13% 오르며 지난해 12월 이후 4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그러나 5대 광역시는 0.18% 떨어져, 지난해 11월 이후 반년째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상업용 부동산 시장도 주택시장과 비슷한 분위기다.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서울의 상업용 부동산 공실률은 2022년 1분기 7.1%에서 올해 1분기에는 5.4%까지 낮아진 반면, 지방은 올해 1분기 공실률이 한자릿수인 곳은 제주(8.7%)뿐이었다. 특히 충북 공실률은 26.4%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지난해 지역별 평균 상가 권리금은 서울이 5043만원이었고, 부산(3997만원)과 제주(3261만원)를 제외한 지방은 1000만~2000만원대로 격차도 상당했다.

특히 부동산 조정국면을 지나며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도 서울을 향한 ‘쏠림 현상’이 현장에서부터 나타나고 있다. 밸류맵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상업업무시설 3.3㎡(평당) 토지평단가는 서울 8385만원, 지방 907만원으로 9배가량 벌어졌다. 정경진 밸류맵 시장분석팀장은 “이미 올해 초부터 지방에 사는 이들로부터 서울 내 가격이 조정된 매물을 찾아달라는 연락이 이어졌다”며 “반면 지방의 매물을 찾는 이들은 사실상 찾기 힘든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어 “서울은 가격이 계속 회복되고 있지만, 지방 물건 가격이 떨어진 이후 다시 오르지 않고, 거래도 살아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헤럴드경제


keg@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