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수출 회복-기준 변경’에 1인당 GNI 껑충… 韓銀 “수년내 4만달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인당 GNI, 日 첫 추월

반도체 중심 수출 늘고 수입은 줄어… 1분기 GNI, 8년만에 최대폭 증가

GDP상향 등 경제지표도 일제 개선… “기준연도 변경 따른 착시” 지적도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 회복 효과와 엔저, 통계 기준시점 변경 등의 효과가 한 번에 겹쳐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단번에 큰 폭으로 뛰었다. 지난해 1인당 GNI가 이웃 나라인 일본과 대만을 제친 가운데, 정부는 수년 내에 4만 달러 시대가 열릴 수 있을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지표의 개선이 기준 연도 변경에 따라 상당 부분 이뤄진 것인 만큼, ‘착시 효과’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 1분기 GNI 8년 만에 최대 폭 증가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국민소득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실질 GNI는 567조5000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2.4% 상승했다. 2016년 1분기(2.8%) 이후 8년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한은은 올 1분기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많이 증가한 가운데 국제 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수입이 줄면서 GNI 상승 폭이 커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교역 조건 개선으로 실질 무역 손실도 11조3000억 원에 그쳐 직전 분기(17조 원) 대비 5조7000억 원 줄었다. 전문가들은 국민들의 실제 구매력을 보여주는 실질 GNI가 많이 늘어난 만큼 내수 소비 증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정태 한은 경제통계국 국민계정부장은 “올 1분기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수출품의 가격이 전 분기 대비 상승한 데 반해 원유 등 수입품 가격은 하락하면서 GNI 상승 폭이 커졌다”고 말했다.

통계 기준 연도가 2015년에서 2020년으로 개편된 것도 경제지표 개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간 경제구조의 변화로 기존에 계측되지 않던 신산업이 새로운 지표에 대거 반영되면서 국민경제 규모가 늘어나는 효과가 생긴 것이다. 실제로 이번에 기준 연도가 바뀌면서 1인당 GNI 3만 달러 달성 시기가 기존 2017년에서 2014년으로 3년 앞당겨졌다. 지난해 1인당 GNI도 3만3745달러에서 3만6194달러로 7.3% 올랐다.

수출 회복과 국제 유가 하락이 겹친 가운데 환율까지 안정세를 찾으면서 조만간 한국의 1인당 GNI가 4만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최 부장은 이날 “환율이 안정된다는 전제하에 수년 내에 1인당 GNI 4만 달러 달성이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앞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지난달 초 기자간담회에서 “현 정부 임기 내에서 4만 달러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 경제 규모 순위도 12위로 도약

한은에 따르면 이번 기준 연도 조정에 따라 다른 경제지표도 일제히 개선됐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2023년 기준 2236조 원에서 2401조 원으로 상향됐다. 이에 따라 브라질, 호주 등에 밀려 13∼14위로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던 한국의 명목 GDP 순위도 12위로 도약했다. 2001년부터 2023년까지 평균 경제성장률도 3.6%로 기존 3.5%에서 0.1%포인트 상승했다. 올 1분기 실질 GDP 증가율은 1.3%로 4월 한은이 발표했던 속보치와 같았다.

모수인 GDP가 커지면서 가계부채 비율도 하락했다. 지난해 말 100.4%였던 가계부채 비율은 새로운 통계를 적용하면서 93.5%까지 내려갔다. 지난해 기준 국가채무 비율도 50.4%에서 46.9%로 낮아졌고,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도 3.9%에서 3.6%로 떨어졌다. 다만 경제규모 대비 비율만 낮아진 것이지, 가계부채나 국가채무의 절대 규모는 그대로인 만큼 문제의 심각성이 완화된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동훈 기자 dhlee@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