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주목 받는 아세안

"관세 위협에도 성과 냈다"…중국 수출 예상 넘는 호실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의 5월 수출이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호조를 보였다. 미국 및 유럽 등과 무역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이룬 성과라 눈길을 끌었다. 증가세를 지속적으로 이어가느냐가 변수다.

머니투데이

중국 장쑤성 동부 쑤저우항 국제컨테이너터미널에 수출 대기 중인 비야디(BYD) 전기차들이 쌓여 있다. 2023.9.11 /AFPBBNews=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7일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5월 중국의 달러 기준 수출은 약 3024억달러(약 414조원)로 전년 동월 대비 7.6% 늘었다. 전월 1.5% 증가율은 물론 시장 전망치인 6.0%도 상당폭 웃돌았다.

중국의 수출은 지난해 11월부터 반등해 지난 2월까지 넉 달 연속으로 증가율을 키워오다 3월 전년 대비 7.5% 줄어들며 시장에 충격을 줬다. 4월 1.5%로 힘겹게 반등한 데 이어 5월 상당 폭 개선된 수치를 기록하며 일단 중국 정부도 한숨 돌릴 수 있게 됐다.

중국 경제지표들은 연초 반짝 회복했으나 1분기 말에서 4월로 이어지며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일부 지표는 경기 회복을 가리키는 반면 상당수 주요지표들은 여전히 경제전망이 어둡다는 의미로 읽힌다.

일단 주요 지표인 5월 수출이 호조를 보이면서 중국 경제상황에 대한 우려도 일단은 잦아들 전망이다. IMF(국제통화기금)와 신용평가사 무디스 등은 최근 중국의 경제성장률 예상치를 각각 0.4%포인트, 0.5%포인트씩 올려잡기도 했다.

다만 부동산과 내수경기, 물가하락, 대외 갈등 등 불안 요소들이 여전해 성장의 지속 여부에는 의문부호가 붙는다.

5월 수출을 국가별로 보면 베트남 등 아세안 국가 수출이 크게 늘었다. 대만, 홍콩 등 중화권으로 향하는 수출도 늘었다. 반면 미국향 수출은 0.2% 늘어나며 이전 수준을 유지했고 유럽연합으로 향하는 수출은 3.9% 줄었다. 그간 중국산 공산품의 허브 역할을 일정 담당했던 네덜란드에 대한 수출은 17.2% 줄었다. 한국과 일본으로 가는 중국산 제품 수출도 각각 5.3%, 7.7% 줄었다.

품목별로 보면 자동차 수출이 26.8% 늘어나며 전체 증가세를 견인했다. 선박이 25%, 가전제품이 24.6%, 철강재가 24.7% 늘어났고, 희토류 수출도 14.3% 늘었다.

5월 중국의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1.8% 늘어난 2197억달러(약 301조원)에 그쳤다. 전달 8.4%는 물론 시장전망치인 4.2%도 크게 하회했다. 수출이 회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수시장에서 활력이 감지되기까지는 아직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5월 전체 무역량은 5221억달러(약 715조원)로 전년 동월 대비 5.1% 늘었다. 수출이 크게 늘면서 5월 흑자는 826억2000만달러(약 113조원)로 4월 대비 크게 늘었다.

AP통신은 "중국의 5월 수출 증가는 미국이나 유럽과 관계가 나빠진 상황에서 이뤄낸 성과여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블룸버그도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이 미국의 새로운 관세 위협에도 해외 시장을 통해 경제 모멘텀을 유지할 수 있다는 희망이 커졌다"고 짚었다. 글로벌 부동산 컨설팅 기업 존스랑라살의 중화권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브루스 팡은 "중국의 경쟁력 있는 상품이 세계 시장에서 더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며 "강달러와 수출업체들의 가격 인하에 힘입어 모멘텀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 본토의 상하이종합지수는 이날 수출 호조 소식에 장 막판 상승 반전하며 전일 대비 0.08% 오른 3051.28에 장을 마감했다.

베이징=우경희 특파원 cheerup@mt.co.kr 이지현 기자 jihyun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