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이슈 취업과 일자리

"AI도 못해, 임금 더 줄게"…이 능력 원하는 요즘 기업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지난달 28일 경기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4 경기도 일자리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노동시장에서 협동·설득 같은 사회적 능력을 갖춘 인력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회적 능력을 필요로 하는 일자리 비중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한편, 임금 측면에서도 사회적 능력에 대한 보상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인공지능(AI) 등 자동화 기술로 대체하기 어려운 이 능력의 중요도는 향후 더 높아질 거란 예측이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보고서는 사회적 능력이 노동 투입과 임금, 두 부문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따져봤다. 이는 협동·협상력 등 다른 사람과 함께 일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최근 들어 사회적 능력을 중시하는 국내 기업은 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2008년 100대 기업의 인재상 순위에선 전문성이 2위, 소통·협력이 5위였다. 하지만 지난해엔 소통·협력이 3위로 올라가고, 전문성은 6위로 내려갔다.

한은 연구진은 우선 지역별 고용조사 등을 통해 국내 직업군을 4가지 그룹으로 분류했다. 그 결과 최근 14년 새(2008~2022년) 사회복지 종사자·법률 전문가 같은 '사회적 기술 집중' 일자리 비중은 49%에서 56%로 7%포인트 늘었다. 반면 회계·조립 담당자 등 수학적 기술 집중 일자리는 같은 기간 50%에서 55%로 늘면서 증가 폭(5%포인트)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사회적·수학적 기술이 모두 낮은 일자리, 즉 비숙련직은 43%에서 36%로 뒷걸음질했다. 고용 시장에선 최근 들어 수학·공식적인 업무보다 다른 사람과 함께 일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는 경향이 뚜렷해진 셈이다.

청년 패널조사(2007~2020년)를 활용한 임금 보상 분석에서도 비슷한 특징이 나타났다. 개인의 사회적 능력이 1단위(1표준편차) 높을 때, 해당 인력의 임금은 2007~2015년 평균 임금보다 4.4% 높게 나왔다. 이들의 2016~2020년 임금은 평균 대비 5.9% 많았다. 반면 인지적 능력이 1단위 높은 인력은 같은 기간 평균 대비 초과 임금 수준이 10.9%에서 9.3%로 후퇴했다. 이러한 차이는 임금을 높게 받는데도 사회적 능력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커진 걸 보여준다. 사회적 능력은 학창 시절 만족도와 친구 집단 및 개인 성향, 인지적 능력은 언어·수리·외국어 과목의 수능 백분위 성적으로 각각 평가했다.

여기엔 사회적 능력의 '대체 불가성'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AI를 비롯한 자동화 기술이 인간의 인지(분석) 업무까지 대체할 수 있는 세상이 됐다. 하지만 대화를 비롯한 비반복적인 업무는 직관·유연성 같은 '암묵적 지식'에 뿌리를 뒀기 때문에 AI가 맡기 어려운 영역에 가깝다. 오삼일 한은 고용분석팀장은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이 높아진 건 한국뿐 아니라 AI 기술이 상용화된 미국 등 선진국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본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향후 기술이 대체하기 어려운 팀워크·의사소통 같은 사회적 능력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더 커질 거라고 내다봤다. 다만 기술 발전에 필수적인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전공자에 대한 노동 수요도 여전히 견고할 거란 전망이다. 의사·교수·행정 전문가처럼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설득 능력이 성과를 내는 일자리(사회적·수학적 기술 모두 높음)가 최근 많이 늘어난 게 대표적이다. 오삼일 팀장은 "교육 현장에서 어린 시절부터 다른 사람과 소통·협업할 수 있는 사회적 능력을 계발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