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유럽연합과 나토

EU도 중국 전기차에 '관세 폭탄' 결정…벌써 내부 반발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럽연합(EU)이 보조금을 기반으로 한 중국산의 공급으로 인해 자국 산업의 경쟁력이 약화된다는 이유로 중국 전기차에 대해 최대 38.1%의 추가 관세 부과 조치를 결정했다. 미국이 중국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100%로 대폭 올리기로 한 데 이어 나온 서방의 중국산에 대한 관세 대응이다. 다만 유럽 내에서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 중국은 보복 대응 가능성이 커 보인다.

머니투데이

[베이징=AP/뉴시스]지난 4월26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오토쇼에서 관람객들이 비야디(BYD) 부스에서 자동차를 바라보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이날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들에 다음 달 4일경부터 최고 38.1%의 잠정 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을 공식 통보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BYD에는 17.4%, 지리 자동차에는 20%, SAIC에는 38.1%의 관세가 부과된다. 로이터는 다른 업체들은 조사에 협조적인 경우 21%, 비협조적인 경우 38.1%의 관세를 맞을 것이라고 전했다.

EU는 현재 모든 수입차에 10%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7월부터 중국산에는 기존 관세에 추가로 관세를 부과한다는 것이다. EU는 중국산 전기차가 중국 당국의 보조금 지원에 힘입어 저렴한 가격으로 유럽 시장에 진출해 시장 질서를 어지럽히고 있다며 지난해 9월부터 관련 조사를 진행했다. 그러면서 EU 산업이 피해를 입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 추가 관세 부과로 대응하겠다고 줄곧 경고해왔다.

미국 컨설팅업체 로디움그룹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유럽에 전기차 100억유로어치를 수출하며 시장 점유율을 8%까지 끌어올린 상태다.

앞서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EU가 중국 전기차 제조사들에 다음 달부터 최고 25%의 추가 관세를 잠정 부과한단 방침을 사전 통보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는데, 실제 발표는 이보다 약 13%포인트 높다.

중국의 보복 대응 가능성은 높다. EU의 관세 조치 통보에 앞서 이날 중국 외교부의 린젠 대변인은 정례 기자회견에서 "(예정된) 이번 조치는 전형적인 보호무역주의 사례"라면서 "우리는 EU가 자유무역을 지지하고 보호무역주의에 반대한다는 약속을 준수하고, 중국과의 무역 협력과 관련한 전반적인 상황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이미 일부 유럽 수출품에 대한 보복 대응 준비를 하고 있다. 중국은 이미 EU산 코냑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착수했으며, 관영 언론과 EU에 보낸 서한 등을 통해 돼지고기, 유제품, 대형 엔진 자동차, 항공기 산업을 겨냥한 보복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경고해왔다.

로이터는 "EU에 중국의 과잉 생산으로 전기차를 포함한 값싼 제품이 넘쳐나는 것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면서 2018년 미국의 수입 관세 부과로 시작된 서방의 대중국 무역전쟁에 새로운 전선이 열리고 있다"며 "EU의 무역 정책은 중국에 점점 더 보호적으로 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EU의 조치에 대해 유럽 내 반대 목소리도 이어진다. 로이터에 따르면 헝가리는 경제부 장관 성명을 통해 이번 조치가 "잔인한 징벌"이라면서 반발했다. 헝가리는 EU 회원국이며 중국과 무역을 중시한다. 중국 배터리 기업 CATL의 공장도 유치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노르웨이는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조치에 동참하지 않겠다고 재무장관이 말했다. 노르웨이는 EU 회원국은 아니다.

이지현 기자 jihyunn@mt.co.kr 윤세미 기자 spring3@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