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브렉시트' 영국의 EU 탈퇴

"마크롱의 조기 총선 카드, 영국 브렉시트처럼 자충수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유럽의회 선거 참패로 조기 총선이라는 승부수를 던졌지만 극우 정당이 돌풍을 이어가며 다수당이 될 거란 예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14일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영국 일간 더타임스 등에 따르면 지난 12일 발표된 여론조사 결과 극우당인 국민연합(RN)이 전체 577석 가운데 220∼270석을 차지해 제1당이 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이는 과반인 289석에는 못 미치지만 현재 88석인 의석이 세 배 수준으로 늘어나는 겁니다.

이에 비해 마크롱 대통령의 르네상스당을 비롯한 여당 연합은 90∼130석을 가져가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현재 다수당 지위를 국민연합에 내어줄 뿐만 아니라 최소 150석 이상으로 예상되는 좌파 연합에도 못 미치는 숫자입니다.

지난 9일 종료된 유럽의회 선거에서 여당이 국민연합에 더블 스코어로 패하자 마크롱 대통령은 극우의 급부상에 제동을 걸고 절반 넘게 남은 임기 내 국정 동력을 확보하겠다며 조기 총선이라는 '충격요법'에 나섰습니다.

여기에는 유럽의회 선거와 달리 총선에서는 극우의 압승이 재현되지 않을 것이라는 계산이 깔렸습니다.

1차 투표가 열리는 6월 30일까지 3주밖에 남지 않은 만큼 좌파가 연합해 단일후보를 내기에는 시간이 부족할 것이고, 내달 7일 결선까지 가면 유권자들은 결국 좌우 양극단보다는 친기업 성향의 집권당을 선택할 것이라는 셈법입니다.

프랑스 총선은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은 선거구에서 결선 투표를 치러 최종 당선자를 가리는 방식으로 치러집니다.

하지만 좌파 연합 '인민 전선'이 정당 간 선거구 배분에 합의하는 등 빠르게 전열을 가다듬었고, 국민연합은 1당으로 올라서며 극우 돌풍을 이어갈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SBS

마리 르펜 프랑스 국민연합(RN) 당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마크롱 대통령의 조기총선 카드가 '실패한 도박'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마크롱 대통령의 성급한 조기총선 결정이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며 "르펜을 저지하기 위한 마크롱의 도박이 오히려 (르펜을) 권력으로 이끄는 위험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이 신문은 또한 마크롱 대통령이 "르펜과 그의 극우 정당을 프랑스 권력의 코앞으로 이끈 인물로 역사에 남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2022년 재선된 마크롱 대통령이 더는 연임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르펜이 차기 대권을 쥘 수 있다는 우려가 프랑스 정계에서 커지고 있다는 겁니다.

이번 조기총선이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국민투표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됩니다.

캐머런 전 총리는 재임 때인 2013년 1월 영국 내 유럽연합(EU) 회의론이 부상하자 EU와 회원국 지위 변화 협상을 하겠다는 총선 공약과 함께 "2017년까지 EU 탈퇴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를 시행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유권자들이 EU 잔류를 택할 것이라는 계산을 바탕으로 던진 승부수였으나 2016년 6월 국민투표에서 예상과 달리 EU 탈퇴가 결정되면서 캐머런은 그 책임을 지고 사퇴했고, 영국은 상당한 분열과 혼란을 겪었습니다.

정치컨설팅 기업 유라시아그룹의 무즈타바 라흐만은 "캐머런은 (EU 탈퇴 시 비관적 상황을 강조하는) 공포 프로젝트가 이길 것이라고 봤지만 틀렸다"면서, "마크롱이 그와 똑같은 일을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김경희 기자 kyung@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