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AI붐에 글로벌 소프트웨어 시장 '훨훨'…한국은 '주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 SW 시장 성장세 세계 평균 밑돌고 점유율 1.2% 그쳐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생성형 인공지능(AI) 바람을 타고 글로벌 소프트웨어 시장은 초고속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은 상대적으로 정체돼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5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디지털 아웃룩'이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의 전망을 분석한 데 따르면 AI·빅데이터·클라우드 등 디지털 전환 투자 증가 영향으로 올해 세계 소프트웨어 시장은 작년 대비 11.4% 증가한 2조5천621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복잡해지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기업들의 소프트웨어 투자가 지속되면서 내년에는 세계 소프트웨어 시장이 2조9천28억 달러 규모로 커지며 가파른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글로벌 소프트웨어 시장 점유율을 국가별로 보면 오픈AI, 구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등 기업이 AI 산업계를 장악한 미국이 46.0%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점유율을 나타냈다.

미국 소프트웨어 시장의 규모는 1조1천78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합뉴스

국가별 소프트웨어 시장 비중 전망
['디지털 아웃룩'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에 이어 영국이 6.8% 점유율을 나타냈고 일본이 6.0%로 그 뒤를 이었다.

4위인 중국은 16.7%의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냈고, 스위스(14위·15.8%), 인도(9위, 15.7%) 등 국가에서도 15%대 고성장이 예상됐다.

반면,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은 전년 대비 9.8% 증가하며 글로벌 성장률 평균을 밑돌았다.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313억 달러로 세계 시장 점유율 1.2%에 그치는 수준이다.

1.2% 점유율로 글로벌 상위 13위를 2년 연속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는데, 인도, 네덜란드, 이탈리아, 스페인에 뒤처진 순위이다.

AI 기술의 비약적 발전에 따라 AI 모델로 대표되는 소프트웨어와 AI 반도체가 주축인 하드웨어 시장 모두에서 글로벌 시장 팽창이 이뤄지는 가운데, AI가 가져다줄 산업적 기회에 대한 국내 관심과 정책적 지원은 반도체에만 집중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AI 모델 업계 관계자는 "정보기술(IT) 당국의 AI 산업 지원책이 AI 반도체에만 쏠려 있고 AI 모델 육성은 등한시된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며 경쟁력 있는 AI 모델 개발 등 소프트웨어 지원책 강화를 주문했다.

csm@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