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영끌' 다시 시작됐나…5대은행 가계대출 보름 새 2조원 증가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택 거래 회복에 주담대가 증가세 견인…신용대출도 늘어

은행권 "하반기 증가세 둔화 전망…당국 대출 규제 강화 영향"

연합뉴스

주택담보대출 안내 현수막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이 보름 새 2조원 넘게 불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주택 시장 회복 흐름 속 주택담보대출이 가계대출 증가세를 견인하는 가운데, 신용대출까지 석 달 연속 늘어나는 분위기다.

◇ 5대 은행 가계대출 보름새 2.1조원 늘어…석 달 연속 증가

16일 연합뉴스가 집계한 결과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13일 기준 705조3천759억원으로, 5월 말(703조2천308억원)보다 2조1천451억원 늘었다.

4월 이후 석 달 연속 증가세로, 이 추세대로라면 증가 폭 역시 4월(+4조4천346억원)·5월(+5조2천278억원)과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대출 종류별로 보면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잔액 548조2천706억원)이 1조9천646억원 늘었다.

신용대출(102조9천924억원→103조2천757억원) 역시 13일 만에 2천833억원 증가했다.

5대 은행의 흐름으로 미뤄보면 전체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세도 석 달째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천109조6천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6조원 많았다.

5월 증가 폭(+6조원)은 지난해 10월(+6조7천억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컸다.

5대 은행 가계대출 증감 추이(단위: 억원)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자료 취합
3월 말4월 말5월 말6월 13일
전체 가계대출6,935,6846,980,0307,032,3087,053,759
전월대비-22,23844,34652,27821,451
주택담보대출5,366,4705,409,9035,463,0605,482,706
전월대비-4,49443,43353,15719,646
신용대출1,024,0211,028,0501,029,9241,032,757
전월대비-12,8304,0291,8742,833

◇ 주택 매매 증가세에 주담대 수요↑…"서울 중심 가격 상승 기대감"

가계대출 증가세가 계속되는 이유는, 주택 매매가 증가하면서 주담대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윤수민 NHALL100자문센터 부동산전문위원은 "지난해에 비해 주담대 금리가 소폭 하락하고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 등으로 주택거래가 증가하면서, 주택 구입에 나서는 실수요자가 점점 늘어나는 상황"이라며 "이에 따라 주담대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가계대출 레벨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는 지난해 12월 2만6천934호에서 1월 3만2천111호, 2월 3만3천333호, 3월 4만233호, 4월 4만4천119호로 꾸준히 증가했다.

주택 매매 거래량은 통상 2∼3개월 시차를 두고 주담대에 영향을 미친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도 최근 보고서에서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수도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실수요 중심의 시장이 강화되는 움직임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서울을 중심으로 주택 매매 가격 상승 기대감도 커지는 분위기다. 보고서에 따르면 5월 전국 주택매매가격전망지수(93.3)는 '하락 전망'이 우세했으나, 서울(102.1)은 유일하게 100을 웃돌며 지난해 9월 이후 8개월 만에 '상승 전망'으로 전환되기도 했다.

지난 4월부터 주택도시기금 정책대출이 은행 재원으로 상당 부분 공급되고 있는 점 역시 가계대출 증가 요인 중 하나다.

디딤돌(구입)·버팀목(전세) 등 주택도시기금 정책대출은 통상 연초에 자체 재원으로 공급돼 은행 가계대출 실적에 포함되지 않았다가, 이 재원이 소진되면 은행 재원으로 대출이 이뤄진다.

◇ "주택 시장 회복에 대출 증가세 계속…증가 폭은 둔화 전망"

은행권 관계자들은 하반기에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지겠지만, 금융당국의 규제 등으로 인해 증가 폭은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주택시장 회복 흐름에 따라 주택대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금융권 간 대출금리 경쟁 심화, 기준금리 인하 기대 등으로 주담대 금리는 현 수준을 유지하다 점진적으로 하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가계대출은 주담대를 중심으로 향후 증가하는 방향성을 보이겠지만, 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의지와 주택시장의 점진적 회복으로 증가 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상미 신한패밀리오피스 반포센터 PB팀장도 "최근 도입된 차주 기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와 스트레스 DSR 도입으로 올 하반기 가계대출은 상반기에 비해 증가액이 미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남혁우 우리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 부동산연구원 역시 "현재 스트레스 DSR이 부분 시행 중인데 내년부터는 전면 시행 예정"이라며 "차주의 소득 대비 상환능력에 따른 대출 심사가 더 강화될 예정이라 향후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남 연구원은 "대출한도 축소 효과뿐 아니라 당분간 저금리 단기 도래가 쉽지 않고 현재 금리 수준도 높은 편"이라며 "수도권 중심으로 주택을 매입하더라도 자기자본 비율을 높여 대출 비율을 낮추고 장기 보유를 통해 외생변수에 따른 변동 리스크를 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ssu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