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입지 좁아지는 중국산 배터리… 보급형 전기차서도 속속 빠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보급형 전기차(EV)가 국내 자동차 시장에 속속 진출하고 있는 가운데 통상 가격 경쟁력으로 채택되던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가 대거 빠져 주목된다.

미국과 유럽에서 중국산 전기차·배터리 견제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LFP 배터리는 CATL, BYD(비야디) 같은 중국 기업의 주력 상품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가 이달 말 공개하는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캐스퍼 일렉트릭의 1회 충전 최대 주행거리는 315㎞(산업통상자원부 인증 기준)에 달한다. 동급 경차인 기아 레이 EV의 주행거리(205㎞)보다 110㎞ 더 길다.

조선비즈

현대차가 이달 말 공개하는 캐스퍼 전동화 모델 '캐스퍼 일렉트릭(CASPER Electric)'의 티저 이미지. NCM 배터리가 탑재돼 주행거리가 크게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현대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캐스퍼 일렉트릭과 레이 EV의 주행거리 차이는 배터리 차이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캐스퍼 일렉트릭은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를, 레이 EV는 LFP 배터리를 각각 탑재하고 있다.

NCM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주행거리가 긴 것이 특징이다. 이 배터리의 니켈 함량이 높을수록 주행거리는 늘지만 배터리 원가는 오른다. LFP 배터리는 NCM 배터리에 비해 주행거리는 짧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캐스퍼를 위탁 생산하는 광주글로벌모터스(GGM)는 올해 하반기 생산물량 2만4500대 가운데 약 70%에 해당하는 1만7000대를 전기차로 생산할 계획이다.

다음 달부터 본격 판매에 들어가는 기아의 소형 전기 SUV EV3는 LFP가 아니라 NCM 배터리를 탑재한다. 고용량의 81.4kWh(킬로와트시) NCM 배터리를 장착한 EV3 항속형 모델은 1회 충전 시 주행거리가 501㎞까지 늘어난다.

수입차 가운데 볼보자동차코리아는 이달 말부터 순차적으로 출고하는 소형 전기 SUV EX30에 66kWh NCM 리튬이온 배터리를 탑재한다.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는 404㎞에 달한다.

올해 들어 수입 EV 가운데 판매량이 급증한 테슬라 모델3의 경우 기본형 모델에 중국 기업의 LFP 배터리를 탑재하는 방식으로 가격을 낮췄다.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테슬라는 올해 1∼5월 국내 시장에서 모델3를 5273대 판매했다. 테슬라코리아 홈페이지에 따르면 모델3의 1회 충전 주행 가능 거리는 488㎞다.

보급형 EV 중에서도 NCM 배터리를 사용하는 차종이 늘어나고 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르면 중국산 배터리가 탑재된 EV는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유럽연합(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도 최근 반(反)보조금 차원에서 중국산 전기자동차에 대해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한국 환경부는 지난 2월 전기차 보조금을 개편하면서 ‘배터리환경성계수’를 도입, 사용 후 재활용하려 할 때 경제성이 높은 배터리를 사용한 차가 보조금을 더 받도록 했다. 이를 놓고 에너지 밀도와 재활용성이 낮은 중국산 LFP 배터리를 겨냥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장우정 기자(woo@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