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이슈 유럽연합과 나토

중국, EU 전기차 관세 폭탄에 "EU 이익 훼손" 맞대응 시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발개위 "눈 앞 이익 위해 관세 부과…에너지 자주성 도전"

중국, 고배기량 차량 관세 인상 등 보복 조치 취할 듯

뉴스1

중국 장쑤성 동부 쑤저우항 국제컨테이너터미널에 수출 대기 중인 비야디(BYD) 전기차들이 쌓여 있다. 2023.9.11 ⓒ AFP=뉴스1 ⓒ News1 강민경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베이징=뉴스1) 정은지 특파원 = 유럽연합(EU)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하자 중국이 "이번 조치는 EU의 이익을 해칠 것"이라며 '맞대응'을 시사했다.

16일 중국신문망 등 현지언론에 따르면 중국의 경제 계획을 총괄하는 부처인 국가발전계획위원회(발개위)는 최근 발표문에서 "EU가 눈 앞의 이익을 위해 중국 전기차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전형적인 보호무역조치"라며 "이는 글로벌 녹색·저탄소 전환을 저해할 뿐 아니라 EU의 에너지 자주와 경제 안보에도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발개위는 지난해 EU에서 판매된 전기차 중 중국산 전기차는 19.5%인 약 30만대를 기록한 점을 언급하며 "한 대의 전기차가 연간 약 1.66톤(t)의 탄소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중국산 전기차는 연간 49만8000톤의 탄소를 감축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EU는 장기간 에너지 수입에 의존해왔고, 그 중 석유와 천연가스의 대외 의존도는 90% 이상으로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 이후 EU의 에너지 공급이 타이트해진 가운데 미국의 천연가스를 비싸게 구매해 경제 발전과 에너지 자주성에 심각한 도전을 야기했다"고 지적했다.

발개위는 "EU의 신에너지 자동차 보급률이 2023년부터 정체되기 시작해 지난해는 20% 미만으로 떨어진 것은 소비자가 만족할만한 제품이 부족하기 때문이지만 중국의 전기차에 대한 EU 소비자 선호가 나타나고 있다"며 "시장법을 위반하고 소비자의 권익을 무시하며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를 부과한다면 EU 소비자의 자동차 구매 선택권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는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 하에서 소비자의 자동차 비용을 증가시키고 EU의 신에너지 자동차 대중화 추세를 방해하며 궁극적으로 EU 자체의 이익을 해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EU 집행위원회는 오는 7월부터 중국산 전기차에 17.4~38.1%의 상계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에 중국 상무부는 "EU의 조치는 WTO 규범을 위반한 것으로 의심되며 이는 적나라한 보호주의적 행동"이라며 "중국은 WTO에 제소하고 자국 기업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처를 할 권리가 있다"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중국은 추가 보복 카드를 검토하고 있다.

중국 중앙방송총국은 웨이보 계정인 위위안탄톈을 통해 "중국이 엔진 배기량 2.5ℓ 이상 고배기량 휘발유 수입차량에 대한 임시 관세율 인상 절차를 추진 중"이라며 "업계가 정부에 고배기량 자동차 수입 관세를 (현 15%수준에서) 25%로 인상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설명했다.

위위안탄톈은 "브랜디 반덤핑 조사에 정통한 업계 전문가에 따르면 예비 판정 결과는 올해 8월 말 이전 발표될 것"이라고 했다. 이 외에 중국 관영 언론은 중국 기업들을 인용해 중국이 EU의 돼지고기 수입품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공식 신청했다고 전했다.

ejjung@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