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삼성·SK 등 재계 전략회의 돌입···하반기 사업 윤곽 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미국 출장을 마친 뒤 지난 13일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귀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그룹, 롯데그룹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다음주부터 주요 수뇌부가 참여하는 회의를 잇달아 열고 올 하반기 전략을 모색한다. 인공지능(AI)과 반도체 분야에서의 신성장 동력 모색부터 전체적인 사업 재조정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논의가 오갈 것으로 보인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임직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오는 18~20일 사흘간 수원사업장 등지에서 회의를 연다.

삼성전자는 매년 6월과 12월에 각 부문장 주재 아래 글로벌 전략회의를 열어왔다. DX 부문 회의는 한종희 부문장이 주재한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 사업부가 18일, 생활가전(DA)·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부가 19일 회의를 진행하며 사업부별 중점 추진 전략과 지역별 목표 달성 전략 등을 논의한다. 삼성전자가 최근 공을 들이고 있는, 소비자 생활패턴과 연결된 제품 경험을 뜻하는 CX·MDE(고객 중심 멀티 디바이스 경험) 활성화 전략도 테이블에 오른다.

MX 사업부의 경우 경쟁사 애플이 지난 11일 AI 전략 ‘애플 인텔리전스’를 공개한 만큼 대응 방안을 고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의 음성비서 ‘빅스비’ 성능을 AI로 고도화하는 방안 등이 논의될 수 있다. 삼성전자는 다음달 프랑스 파리에서 ‘갤럭시 AI’를 탑재한 폴더블 스마트폰 ‘Z플립6·폴드6’를 공개하는 언팩 행사를 앞두고 있다.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오는 25일 화성사업장에서 글로벌 판매전략회의를 갖는다. 전영현 부회장이 부문장을 맡은 뒤 처음 열리는 이 회의에는 임직원 12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은 지난해 15조원에 달하는 사상 최대 적자를 내며 위기 신호가 켜진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AI 붐을 타고 고대역폭메모리(HBM)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에서 기회를 찾겠다는 목표다.

특히 이재용 회장이 최근 2주간 미국 출장에서 메타·아마존·퀄컴 등 빅테크 기업과 잇달아 회동하며 AI 반도체, 스마트폰, 증강현실 분야에서의 포괄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돌아온 만큼 이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짜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SK그룹도 오는 28일부터 이틀간 경기 이천 SKMS연구소에서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등 경영진이 참석하는 경영전략회의를 연다.

SK그룹은 현재 계열사 간 중복 사업을 조정하고 비핵심 사업을 정리하는 포트폴리오 점검 작업 중이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으로 인해 다소 부진한 배터리 사업을 비롯한 에너지·그린 사업을 재편하는 게 핵심 과제다. 이번 회의에서 리밸런싱(포트폴리오 비중 조정) 방향성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영전략회의에는 최태원 그룹 회장과 최재원 SK이노베이션 수석부회장,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도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기아는 매년 상·하반기 국내서 두 차례 해외권역본부장 회의를 진행하는데, 올해 상반기 해외권역본부장 회의는 이르면 이달 말부터 1주일가량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롯데그룹도 다음달 신동빈 회장 주재로 사장단 회의를 열고 그룹의 경영 상황과 중장기 전략을 논의한다.

김상범 기자 ksb1231@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