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이슈 오늘의 외교 소식

순방은 끝났다…의사파업·특검법·개각, 다시 윤 대통령 앞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투르크·카자흐·우즈베크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을 마치고 16일 새벽 경기 성남 서울공항으로 귀국하고 있다. 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5박7일간의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을 마치고 16일 귀국했다. 의료계 총파업과 곧 다가올 재의요구권(거부권) 정국 등 국내를 비운 사이 쌓인 현안들을 어떻게 풀어갈지 관심이 쏠린다.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이날 새벽 3시10분께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했다. 윤 대통령은 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순방을 계기로 에너지·핵심광물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고, 정부의 중앙아시아 지역전략인 ‘케이(K) 실크로드’ 구상에 대한 지지를 확보했다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귀국 직후인 이날 오전부터 정진석 비서실장, 성태윤 정책실장 등으로부터 각종 현안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



우선, 오는 18일로 예고된 대한의사협회의 ‘전국 의사 총궐기 대회’가 눈앞의 현안이다. 정진석 비서실장은 이날 정부·여당과 함께 연 고위 당정대 회의에서 의사들을 향해 “국민의 호소에 귀 기울여 현명한 판단을 내려줄 것을 간곡하게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국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채 상병 특검법’(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과 ‘방송 4법’(방송법·방송문화진흥회법·한국교육방송공사법·방송통신위원회법 개정안) 등을 다음달 초엔 처리하겠다며 속도를 내고 있다. 여권은 대통령의 거부권으로 맞설 뜻을 내비쳐왔으나, 윤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가 20%대에 머무는 상황에서 반복적인 거부권 행사는 정치적 부담이 크다. 국민권익위원회가 김건희 여사 ‘명품 가방 수수 의혹’에 대해 순방 첫날 ‘종결’ 결정한 것을 두고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일부 부처 장관 교체도 당면 현안이다. 4·10 총선 패배 이후 국정 쇄신 의지를 보여주면서 야당의 검증 또한 통과할 수 있는 인선을 해야 하는 숙제가 놓여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장차관급 인사 기초 단계 작업을 하고 있다. 이달 말에 가능할지는 미지수”라고 했다.



북한 오물 풍선 살포와 대북 확성기 방송 맞대응으로 남북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이뤄지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북한 방문도 주시할 대목이다. 정부는 북-러 협력 강화에 대비하면서, 남북 관계를 관리하고 러시아, 중국과의 관계도 균형을 맞춰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윤 대통령이 직접 발표한 ‘동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과 관련해서도, 분석 업체인 액트지오를 둘러싼 의혹이 지속되고 ‘정부 발표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여론이 높게 나타나는 점 또한 윤 대통령에게 부담 요인이다.



장나래 기자 wing@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오직 한겨레에서 볼 수 있는 보석같은 기사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