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우크라 평화정상회의 "우크라 영토보전, 평화의 기초" 공동성명 채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크라 평화정상회의 "우크라 영토보전·주권 존중, 평화의 기초"

공동성명에 78개국 서명...러·중·인도·남아공, 글로벌 사우스 비서명

로이터 "서방 동맹국, 우크라 지지 보여줘"

젤렌스키 "평화 첫걸음"

아시아투데이

우크라이나 평화정상회의가 16일(현지시간) 스위스 니드발덴주 오브부르겐 휴양지 뷔르겐슈톡에서 진행되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스위스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평화정상회의가 78개국이 우크라이나 영토 보전이 평화의 기초가 돼야 한다는 공동성명(코뮈니케)을 채택하고 폐막했다.

16일(현지시간) 스위스 니드발젠주 뷔르겐슈톡에서 90여개국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틀 일정의 우크라이나 평화회의 공동성명에 "유엔 헌장과 영토 보전과 주권에 대한 존중이 우크라이나의 포괄적이고 정의로우며 지속적인 평화를 달성하는 데 기초가 될 수 있고, 또 그렇게 될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됐고, 이에 78개국이 서명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이는 우크라이나가 더 많은 영토를 양도하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군사동맹에 가입하려는 희망에서 물러나기를 바라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는 애시당초 가능성이 없는 일(nonstarter)이라고 AP는 평가했다.

아시아투데이

우크라이나 평화정상회의가 16일(현지시간) 스위스 니드발덴주 오브부르겐 휴양지 뷔르겐슈톡에서 진행되고 있다./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평화정상회의가 열린 스위스 니드발덴주 오브부르겐 휴양지 뷔르겐슈톡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승리의 브이(V) 사인을 하고 있다./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당초 초청받지 못한 러시아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의 기반이 되는 군사 및 방위산업 기반 재건에 사용되는 군사 생산용 이중 용도 재료 및 부품을 제공하고 있는 중국, 중·러와 함께 경제 연합체 브릭스(BRICS) 소속국인 브라질·인도·남아프리카공화국, 브릭스 가입이 승인된 사우디아라비아와 가입을 추진 중이거나 관심을 표명한 인도네시아·태국·리비아·바레인, 회의 주최국이자 중립국을 표방하는 스위스와 교황청, 그리고 아르메니아·멕시코·슬로바키아가 서명하지 않았지만,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겐 승리로 평가된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휴전 협상의 조건으로 명시적으로 말해 온 우크라이나 영토 보전과 주권 존중을 명시했고, 서방 국가 대부분이 공동성명에 서명했기 때문이다.

로이터통신이 이번 회의에 대해 우크라이나 정부가 훨씬 더 큰 적 러시아와 계속 싸워야 한다는 서방 동맹국의 지지를 보여준 기회였다고 평가했고, 블룸버그통신은 공동성명 비서명국의 공통점이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주로 남반구 신흥국·개발도상국 통칭)라고 규정한 것이 이를 보여준다.

아울러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전날 이탈리아 풀리아주 브린디시에서 폐막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한 시리즈 중 첫번째에 불과했다며 우크라이나 평화정상회의, 그리고 7월 중순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나토 창설 75주년 기념 정상회의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G7 정상들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500억달러 대출에 합의했고, 젤렌스키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와 별도의 정상회담을 갖고, 각각 양국 간 10년 안보 협정을 맺었다.

아울러 나토는 우크라이나 정부를 위한 장기 군사·재정 지원의 조정된 패키지를 준비하고 있다고 NYT는 알렸다.

아시아투데이

나나 아쿠포아도 가나 대통령(왼쪽부터)·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위원장·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가브리엘 보리치 칠레 대통령·비올라 암헤르트 스위스 연방 대통령·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1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평화정상회의가 열린 스위스 니드발덴주 오브부르겐 휴양지 뷔르겐슈톡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가진 뒤 악수를 나누고 있다./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번 회의가 평화를 향한 첫걸음이라고 평가하고, 일부 국가와 2차 평화정상회의 개최를 제안한 일부 국가와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공동성명이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와 아조우해 항구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통제권 회복을 촉구하면서도 우크라이나 전후 해결 방안,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여부, 양측의 병력 철수 방식 등 어려운 문제가 빠졌음에도 일부 국가가 서명하지 않은 것은 미국 등 서방 국가와 우크라이나가 해결해야 할 외교적 과제다.

무엇보다 침략국인 러시아와 그 협력국인 중국 등이 어떤 식으로든 평화회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2년 4개월 넘게 지속되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휴전 또는 종식, 그리고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해 중요하다.

비올라 암헤르트 스위스 대통령은 "러시아를 언제 어떻게 이 과정에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인가라는 한가지 중요한 문제가 남아있다"며 "지난 이틀 동안의 논의를 통해 서로 다른 관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