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렇게 슬픈 일, 2년뒤면 닥친다”…팔 걷어붙인 서울시 ‘초고령사회’ 대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시, 2년뒤 초고령사회
65세 이상 인구 20% 넘어
市, 외국인 간병 적극 도입


매일경제

고령화 사회. [이승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2년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인구 감소에 대비해 복지시설 종사자 정년 연장을 검토하고, 간병인 등 돌봄분야에 외국인력을 적극 도입한다.

서울시는 16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인구정책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인구 변화 대응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인구정책 기본계획은 저출생·어르신·외국인 정책 전략을 담은 최상위 인구전략계획으로, 매 5년마다 수립한다.

서울시는 지난 2005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처음으로 7%를 넘으면서 고령화사회에 진입했다. 오는 2026년에는 65세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이 확실시된다.

서울시는 경제활동인구 고령화에 대비해 경제 분야에서는 정년 제도 개선 연구에 착수했다. 시는 2031년에는 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 전국 기준 58만4000명의 인력이 부족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라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계속고용 보장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간병인 등 돌봄분야에서 부족한 인력을 채우기 위해서는 2025년부터 외국인대상 준전문인력 취업학교를 운영하고, 고용허가제(E-9)대상 인력도 확대하기로 했다. 돌봄로봇서비스도 현장에 적용한다. 올해 9월에는 서울의료원 내에서 혈액과 검체 등을 이송하는 로봇을 도입하고, 연말까지 서울어린이병원에서 재활치료 로봇 및 인프라 구축사업을 진행한다.

매년 빠르게 증가하는 노인인구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시설도 늘어난다. 서울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건강수명(신체적·정신적으로 특별한 이상없이 생활하는 기간)은 70.5세지만, 기대 수명은 85.2세로 조사돼, 노인들이 평균 14.7년간 요양 또는 투병생활을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시는 현재 65세인 노인 연령 기준을 신규 복지사업에서는 60~80세까지 다르게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