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美 바이오안보법, 통과 가능할까…국내 바이오주 '흔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 대중정책 기조상 연내 통과" 의견도

비즈워치

미국 의회가 중국계 바이오기업을 견제하기 위해 발의한 바이오안보법에 제동이 걸린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내년도 국방 관련 예산 심의에서 이 법안이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국내 바이오기업 다수가 이 법안의 실질적인 수혜 대상으로 거론돼왔기에 주식시장에선 실망감을 표출하기도 했다.

브레이크 걸린 바이오안보법

지난 12일 에스티팜의 주가는 전일대비 10.0%(1만500원) 떨어졌다. 2021년 5월 이후 3년여 만에 최대 낙폭이다. 주가는 이후로도 이틀 연속 하락해 14일 9만28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에스티팜과 같이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영위하는 차바이오텍의 주가도 지난 사흘간 하락하면서 힘을 못 쓰는 모습을 보였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3일 주가가 약 1% 하락했다가 다시 오르는 등 이 기간 동안 등락을 반복했다.

국내 바이오기업들의 주가가 이처럼 흔들린 이유는 미국 하원 규칙위원회가 내년도 국방수권법(NDAA) 개정안에 중국계 바이오기업의 미국 내 활동을 제한하는 바이오안보법을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국방수권법은 미 의회가 국방과 관련한 정책과 예산을 승인하는 법안이다. 최근 국방수권법에는 중국계 기업이 제조한 드론 구매를 제한하는 '미국 안보 드론법' 등의 중국 견제 법안이 주로 담기며 이번 회의에서 바이오안보법이 포함될 것이라는 기대가 컸다.

법안을 발의한 공화당 소속의 브래드 웬스트럽 미 하원의원 대변인실은 지난달 29일 "바이오안보법이 국방수권법 개정안에 포함되길 희망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동안 시장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비롯한 에스티팜 등의 국내 CDMO 업체가 이 법안의 수혜 대상으로 거론돼왔다. 법안에서 동일한 사업을 영위하는 우시바이오로직스 등 중국계 바이오기업 4곳이 제재 대상에 올랐기 때문이다.

이번 국방수권법 개정안 미포함 소식에 12일 국내 바이오기업의 주가가 내린 반면 같은 날 우시바이오로직스와 우시앱텍의 주가는 각각 전일대비 14.2%, 8.5% 상승했다. 연내 통과할까

바이오안보법이 국방수권법 개정안에 포함되지 않은 것을 두고 제약업계 안팎에서는 엇갈린 목소리가 나온다.

하나는 중국계 기업의 로비로 입법에 제동이 걸리면서 연내 통과가 불확실해졌다는 의견이다. 앞서 법안이 발의되자 우시는 자사의 임원을 미 의회 로비스트에 등록하는 등 대응에 나선 바 있다.

이 과정에서 지난 3월 법안을 도입한 미 의회 중국 특별위원회는 미국 바이오협회(BIO)가 우시의 로비를 받고 법안통과를 저지하려 한다며 법무부에 관련 조사를 요청하기도 했다.

비즈워치

이달 3~6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바이오USA 2024에는 중국계 CDMO(위탁개발생산) 기업인 바이오안보법 제재대상에 오른 우시바이오로직스와 우시앱텍이 불참했다. /사진=바이오인터내셔널컨벤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에도 미국이 대중 경제안보 정책 기조를 강경하게 유지하고 있는 만큼 바이오안보법이 이르면 연내 통과될 것으로 보는 시선도 있다.

실제 바이오안보법은 중국계 기업의 로비에도 하원과 상원 위원회에서 각각 40대 1, 11대 1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으며 통과된 바 있다.

중국 특별위원회 지적에 미국 바이오협회는 우시앱텍의 회원사 자격을 박탈한 데다, 최근 미 의회는 또 다른 중국계 CDMO 기업인 진스크립트를 제제대상에 포함하는 등 법안을 강화하고 있다.

11월 바라보는 이유

바이오안보법이 국방수권법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단독법안 등으로 연내 처리될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국방수권법도 개정안이 통과되지 않았을 뿐이며 최종안은 연말 상·하원이 최종적으로 합의해 결정된다.

김정현 교보증권 연구원은 "여전히 법안의 통과를 위한 방법이 있어 바이오안보법의 연내 통과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며 "법안 통과가 소폭 지연되는 것은 미중 바이오 패권 경쟁의 대세를 바꾸지 못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가운데 시장은 상·하원 의회와 대통령선거가 열리는 11월을 주목하고 있다.

선거 이후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이른바 '레임덕 세션'에 상·하원 의원들이 바이오안보법 통과를 위해 초당적으로 협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재선을 준비 중인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지지를 얻기 위해 바이오안보법을 포함한 대중 견제 정책의 고삐를 당길 가능성도 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최근 진스크립트가 제제대상에 오르는 등 바이오안보법은 통과 가능성이 불확실해지기는커녕 오히려 강화되는 추세"라며 "현재 미국의 대중정책 기조상 바이오안보법의 입법 가능성은 높으며 이를 되돌리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했다.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