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친윤’ 이철규 “‘어대한’은 당원들 모욕하는 말”···한동훈 견제도 가속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당대표 출마 가능성이 가시화되자 국민의힘 내에서 계파를 가리지 않고 견제 움직임이 가속화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과 갈등설이 불거졌던 한 전 위원장이 당대표가 되면 당정관계 악화가 우려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핵심 관계자)’으로 꼽히는 이철규 의원은 17일 KBS 라디오에서 ‘어대한(어차피 당대표는 한동훈)’이라는 말을 두고 “당원들을 모욕하는 말”이라며 “선거 결과는 뚜껑을 열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일부 언론에서 몰아가는 하나의 프레임이다. 우리 당원들의 시각과 또 일반 국민들의 시각이 다를 수 있다. 최근의 흐름도 좀 변화가 있는 것 같다”며 “우리 당의 미래를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주장이고 현상”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어대한’이라고 하는 현상에 대해서 보면 보수 지지층의 한 전 위원장에 대한 지지율이 거의 한 40% 이상 다운돼 있고 당 지지자들의 지지도도 많이 내려갔다”며 “특정인이 대세를 장악하게 됐다고 보도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이 의원은 윤 대통령과 한 전 위원장간 갈등설에 대해서는 “(한 전 위원장은) 우리 당에서 윤 대통령과 가장 가까운 분이 맞고 제일 큰 수혜를 받으신 분이 맞다. 검찰의 중간 간부에 불과하던 사람을 발탁해 법무부 장관(에 임명해) 전권을 주다시피 했다”며 “‘갈라섰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 자체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전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총선을 망친 주범들이 당권을 노린다고 삼삼오오 모여 저리 난리치니 참 뻔뻔하고 어이없는 당이 돼가고 있다”며 한 전 위원장을 겨냥했다. 그는 “총선 망쳐 국회 난장판 만들어 놓고 윤(석열) 정권도 어려운데 자숙해야 할 총선 참패 주범들이 저리 날뛰니 보수정권 앞날이 참으로 암담하다”고 했다.

차기 당권 주자들도 잇따라 한 전 위원장에 견제구를 날린 상황이다. 나경원 의원은 지난 13일 기자들과 만나 “우리가 역대로 원외 당대표도 모셔봤는데, 정치의 전장이 국회다 보니 원외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윤상현 의원도 같은 날 “총선 패배 책임지고 사퇴한 분도 그 자리에 다시 나오겠다고 한다. 그러면 뭐 하러 사퇴했냐”고 했고 김기현 의원 역시 “실패한 리더십이 아닌 참신한 리더십을 세워야 한다”고 했다.

당내에선 한 전 위원장과 윤 대통령의 긴장관계를 우려하며 한 전 위원장의 당대표 출마를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박정훈 의원은 이날 YTN 라디오에서 한 전 위원장의 당대표 출마 가능성을 두고 “한동훈 위원장이 출마해야 되느냐 말아야 되느냐는 당내에서 여러 가지 논란이 있는 게 사실”이라며 “대통령과의 어느 정도 긴장이 불가피한 사람”이라고 했다.

그는 “저희가 여당이기 때문에 대통령과 무조건 척을 지고 이렇게 가서는 정부도 성공시킬 수 없고 당도 실패한다”며 “그렇기 때문에 그 중간에서 정답을 찾는 게 아마 한동훈 지도부가 들어선다면 가장 큰 과제가 아닐까”라고 했다.

강승규 의원도 이날 BBS 라디오에서 “대통령과 당대표가 갈등을 빚게 되고 그것이 당과 정부 여당이 망하는 길이다. 그런 당대표를 뽑으면 안 된다”라고 했다. 그는 “차기 대권주자, 차기 당대표도 정부와 일정적으로 긴장을 가질 수밖에 없는데 이런 부분을 아주 극대화시킨다면 또 정부 여당이 혼선을 겪을 것”이라며 “이렇게 본다면 그런 당대표가 뽑혀서는 안 되겠고 정부도 그런 긴장 관계를 가지면 결국 정부 여당이 실패하는 거 아니겠나”라고 했다.

이보라 기자 purple@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