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오늘 사서 오늘 팔자”… 올해 코스닥 단타매매 비중 역대 최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코스닥 시장의 데이트레이딩(당일 매수·매도) 비중이 역대 최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비즈

그래픽=손민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13일까지 유가증권 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데이트레이딩 거래량은 총 1020억9774만주로, 전체 거래량(1752억3760만주)의 58%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데이트레이딩 거래대금은 총 1111조원1139억원으로, 전체 거래대금(2302조5862억원)의 48%를 차지했다.

주식을 매수한 날 바로 되파는 데이트레이딩은 유가증권 시장보다 코스닥 시장에서 더 활발했다. 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코스닥 거래대금의 57.1%가 데이트레이딩이었다. 거래소가 관련 집계를 시작한 2005년 이래 최대치다. 2022년과 2023년 비중은 각각 53%, 55%였다. 코스닥 시장의 데이트레이딩 비중은 2005년부터 2019년까지 40%대를 유지하다가 2020년부터 50%대에 진입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종목들이 데이트레이딩 비중 상위권에 올랐다. 노브랜드(89%)와 씨씨에스(79%), 와이씨(75%), 신성델타테크(73%), 필옵틱스(70%) 등의 데이트레이딩 비중도 컸다.

올해 유가증권 시장의 데이트레이딩 비중은 40.1%로 나타났다. 2022년과 2023년의 코스피 데이트레이딩 비중은 각각 40.8%, 40.1%였다. 코스피 종목 중에서는 삼성공조의 데이트레이딩 비중이 84%로 가장 컸다. 코오롱모빌리티그룹(80%), 동일고무벨트(79%), 비상교육(78%), 제주은행(78%), 한국석유(78%), 광전자(77%) 등이 뒤를 이었다.

주로 개인이 단타 매매에 나섰다. 올해 한국 증시 데이트레이딩에서 개인 비중은 71.3%에 달했다. 글로벌 증시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부진했던 국내 증시에 답답함을 느낀 개인 투자자들이 방망이를 짧게 잡은 것으로 풀이된다. 외국인과 기관 비중은 각각 17.8%, 10.2%로 집계됐다.

전준범 기자(bbeom@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