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尹겨냥 ‘대선 개입 허위 인터뷰’ 김만배‧신학림 구속영장 청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대장동 개발 사업을 도와달라고 당시 성남시의장에게 청탁하고 뇌물을 공여한 혐의로 기소된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씨가 지난 2월 오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지방법원에서 열린 1심 선고 공판이 끝난 후 법원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을 겨냥한 ‘대선 개입 여론조작 허위 인터뷰’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김만배(화천대유 대주주)씨와 신학림(전 뉴스타파 전문위원)씨에게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서울중앙지검 대선개입 여론조작 사건 특별수사팀(팀장 이준동 반부패수사1부장)은 17일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배임수・증재, 청탁금지법위반, 범죄수익은닉규제법 위반 및 공갈 혐의로 김씨와 신씨에게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신씨의 주거지와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며 본격적인 수사에 돌입한 지 9개월 만이다.

검찰은 이들이 대선에 개입할 목적으로 허위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이를 대가로 1억 6500만원을 주고받았다고 의심하고 있다. 허위 인터뷰 의혹은 2021년 9월 뉴스타파 전문위원이던 신씨가 김씨와 공모해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해 유력 대선 후보였던 윤석열 대통령에게 불리한 내용의 허위 인터뷰를 하고 이를 대선을 사흘 앞둔 2022년 3월 6일 뉴스타파를 통해 보도했다는 게 핵심이다. 또 이 같은 허위 보도의 대가로 신씨가 김씨로부터 1억 6500만원을 수수하고 이를 자신이 쓴 ‘혼맥지도’의 책값으로 위장했다고도 보고 있다.

중앙일보

신학림 전 언론노조 위원장.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의혹을 받는 인터뷰는 2021년 9월 15일 진행된 것으로 2011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에서 부산저축은행 대출 비리를 수사하던 윤석열 대통령이 대장동 대출 브로커로 불렸던 조우형씨 사건을 무마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 대화에서 김씨는 자신이 당시 대검 중수부 검사였던 윤 대통령과 박영수 전 특검을 잘 안다며, 박 전 특검을 조씨의 변호인으로 소개해줬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조우형이 대검 중수부에서 윤석열을 만났다…윤석열이가 ‘네가 조우형이야?’ 이러면서… 박○○ (검사가) 커피 주면서 몇 가지를 (질문)하더니 (조우형을) 보내주더래. 그래서 사건이 없어졌어”라고 녹음 파일에 남겼다. 이를 근거로 당시 대선 경쟁 후보였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대선 TV토론에서 윤 대통령을 향해 “조우형에게 왜 커피를 타 줬나”라고 공세를 펼치기도 했다.

검찰은 이들이 대장동 의혹의 책임을 이 대표에게서 윤 대통령으로 돌리려 허위 인터뷰를 기획한 것으로 보고 있다. 김씨가 인터뷰 닷새 뒤인 2021년 9월 20일 그 대가로 신씨에게 ‘대한민국을 지배하는 혼맥지도’ 3권 값 명목으로 위장해 1억 6500만원을 줬다는 게 검찰 조사 결과다. 또 검찰이 올해 4∼5월 뉴스타파 구성원들을 상대로 진행한 공판 전 증인신문 과정에서는 신씨가 보도 시점과 관련해 “폭발적이고 파괴적인 타이밍을 고려한 것”이라고 언급하는 등 윤 대통령을 겨냥한 발언을 주고받은 정황도 공개됐다.

아울러 신씨에게는 허위 인터뷰 의혹과 별도로 공갈 혐의도 적용됐다. 신씨는 2022년 정기현 전 국립중앙의료원장에게 혼맥지도 책을 건네고 수백만원의 후원금을 받았다. 이후 정 전 원장이 ‘책을 제3자에게 양도하지 않는다’는 계약을 어기고 청와대 인사를 통해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 전달했다며 책값을 주지 않으면 문 전 대통령에게 직접 말하겠다는 취지로 압박해 정 전 원장으로부터 5000만원을 받아냈다는 것이 혐의의 요지다.

다만 신씨는 1억 6500만원은 인터뷰 대가가 아닌 자신이 쓴 ‘혼맥지도’의 책값이라며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김씨 또한 지난해 9월 검찰의 추가 구속영장 청구 기각 후 “신 전 위원장이 쓴 책이 가치가 있다고 생각해서 1억 6500만 원을 주고 구입한 것”이라며 허위 인터뷰 의혹을 부인했다.

양수민 기자 yang.sumi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