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츠는 일찍이 무탄소 전원, 청정에너지원으로 원전을 점찍었다. 테라파워는 원자로 냉각재로 물이 아닌 액체금속, 가스 등을 사용하는 4세대 비경수형 SMR 시대를 주도하고 있다. 원자로는 높은 온도에서 작동될수록 발전 효율이 높아지고 경제성도 향상된다. 테라파워는 냉각재로 액체 나트륨을 사용한다. 끓는점이 섭씨 880도로 높아 발전 출력을 높일 수 있고 오염수가 발생할 우려도 없다.
게이츠가 차세대 원전에 주목한 것은 경제성과 안전성을 높게 봤기 때문이다. 게이츠는 앞서 착공식에서 “이 차세대 발전소가 우리나라(미국)의 미래를 움직일 것”이라고 했다. 미국 정부도 적극 투자하고 있다. 2030년까지 345㎿(메가와트)급 SMR을 건설하는 이번 프로젝트 사업비 40억 달러(약 5조5000억 원)의 절반을 지원한다.
SMR은 부지 규모가 작고 안정성이 높아 도시, 산업단지 등 전력 수요처 인근에 구축하기 유리하다. 건설 시간과 비용 모두 대폭 줄일 수 있다. 영국 국가원자력연구원(NNL)은 2035년 SMR 시장 규모가 약 400조∼600조 원 수준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등 원전 기술 강국들이 다 탐내는 원전 신천지다.
우리나라도 고삐를 당기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어제 대구시와 TK신공항 첨단산업단지 내 국내 최초 680㎿(170㎿×4모듈)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2033년 상업 가동을 목표로 한 이번 사업에 외국 개발 모델이 아닌 우리의 혁신형 SMR(i-SMR)을 도입한다고 한다. 큰 차질 없이 마무리되면 ‘K-원전’ 자산이 또 하나 확보된다.
K-원전은 유럽에서 새 도약을 준비 중이다. 기대를 걸 것은 SMR만이 아닌 것이다. 한수원은 최근 체코전력공사(CEZ)에 원전 4기 건설 방안을 담은 최종 입찰서를 제출했다. 최소 30조 원대인 사업 수주에 성공하면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출 이후 15년 만에 쾌거를 이루게 된다. 탈원전 정책 실패를 인정하고 원전 회귀 중인 유럽 국가들이 많으니 부수 효과 또한 클 것이다.
인공지능(AI) 물결로 데이터센터 등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대량의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전원으로 원전만 한 게 없다. ‘상업 원전 종주국’이지만 탈원전으로 길을 잘못 잡아 기술과 인력을 잃어버린 영국의 기업인들이 방한해 한국형 원자로를 둘러보고 간 일도 있다. 현재 6GW(기가와트)인 원전 규모를 2050년까지 24GW로 확대하기로 한 영국이 K-원전의 활동 무대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세계로 뻗어 나가기 위해서는 내수 기반이 튼튼해야 한다. 전임 문재인 정부 때 허망하게 무너진 원전 생태계의 복원이 급선무다. 신발을 단단히 조여 매고 다시 뛰어야 한다.
[이투데이 (opinio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