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투데이 말투데이] 공전절후(空前絶後)/페이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 조지 말로리 명언

“그게 거기 있어서요(Because it is there).”

영국 산악인. 뉴욕타임스 기자가 “왜 에베레스트에 오르려느냐?”라고 질문하자 그가 한 대답이다. 1921년 제1차 에베레스트 등반대원으로 선발된 그는 2차, 3차 등반도 참가했으나 1924년 실종되었다. 정상 등반 여부는 알 수 없다. 그가 유명해진 것은 ‘에베레스트를 최초로 정복한 사람이 누구인가?’라는 논란의 주인공이기 때문이다. 75년이 지난 1999년 시신 수습 작업 등정대가 8138m에서 그의 시신을 발견했다. 그는 오늘 태어났다. 1886~1924.

☆ 고사성어 / 공전절후(空前絶後)

전에도 없었고 후에도 없을 것이라는 뜻. 평범하지 않은 뛰어난 경지 또는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귀한 존재를 가리키는 말이다. 송(宋)나라 주상현(朱象賢)의 문견우록(聞見偶錄) 남복종군(男服從軍) 장에 나온다. “목란(木蘭)이란 이름의 여자가 남장하고 병든 아버지 대신 종군했다. 함께 간 이들이 12년간 아무도 그가 여자인지 몰랐다. 시와 노래에서 그녀를 찬미하고 전적에 그녀의 이야기가 전해지는바, 그러한 사연은 전에도 찾아볼 수 없고 후에도 없을 것이다[以其事空前絶後].”

☆ 시사상식 / 페이고(PAYGO)

‘Pay as you go(번 만큼 쓴다)’를 줄인 말. 각 부처가 비용이 수반되는 정책을 만들 때 이를 위한 세입 증가나 법정지출 감소 등 재원확보 방안도 마련하도록 의무화한 것을 말한다. 미국은 1990년 재정 건전성 회복을 위해 이 원칙을 도입했다가 2002년 폐지했다. 그러나 건전성 문제가 다시 불거지자 2010년 부활했다. 우리나라는 2010년 도입해 시행 중이다.

☆ 속담 / 사람과 산은 멀리서 보는 게 낫다

사람을 가까이 사귀면 멀리서 볼 때 안 보이던 결점이 다 드러나 실망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유머 / 희망

연세대를 설립한 언더우드 목사가 개척교회를 방문했다. 그 교회의 전체 신자는 목사 가족 세 명이 전부였다.

그걸 본 언더우드가 젊은 목사에게 격려한 말.

“목사님에게는 이제 희망만 있습니다. 앞으로 신자가 늘어나면 늘어났지, 더 줄어들 이유가 없으니 희망적일 수밖에요.”

채집/정리: 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 삶 연구소장

[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 삶 연구소장 (opinio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