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신의 직장서도 6000명 뽑는대”…인재 빨아들이는 ‘이 업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두 개의 전쟁, 中 대만 침공 야욕에
안보 강화 나선 각국 정부
무기 수요 맞추려 업계 채용 확대
기존 인원의 10% 내외 대규모 구인


매일경제

차세대 전투기 이미지. 사진과 기사는 관련 없음. [EPA = 연합뉴스]


‘두 개의 전쟁’이 야기한 지정학적 불안정성이 글로벌 방산업계에 대규모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무기 수요가 급증하면서 올해 미국과 유럽의 방산업체들은 미국과 소련(러시아)이 군비경쟁을 벌이던 냉전 시대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고용을 늘리고 있다.

17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과 유럽의 방산 및 항공우주업체 20개사가 올해에만 수만명을 채용할 방침이라고 보도했다.

FT가 조사한 10개 미국 방산업체들은 올해 안에 총 3만7000명을 채용한다. 2023년 기준 전체 인력의 약 10%에 달하는 규모다. ‘신의 직장’으로 불리는 록히드 마틴, 노스롭 그루먼, 제너럴 다이내믹스 등 미국의 3대 방산업체는 올해 총 6000명에 대한 채용에 나선다.

유럽 방산업체들도 대규모 채용에 나선다. 프랑스 최대 방산업체 탈레스가 올해 말까지 8000명 이상을 충원할 예정이고, 이탈리아 1위 방산업체 레오나르도도 올해 약 6000명을 채용한다. 각각 2023년 현재 직원 수 대비 10%가 넘는 인원이다.

용접공, 기계공, 엔지니어부터 소프트웨어 개발자, 사이버 보안 분석가 등 사실상 모든 부문의 인력을 충원한다. 직책도 신입부터 경력 임원까지 다양하다.

고용이 폭증한 이유는 전 세계에 감도는 전운 때문이다. 2022년 2월 러시아의 침공이 촉발한 우크라이나 전쟁, 지난해 10월 7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기습으로 시작된 가자 전쟁, 나아가 중국의 대만 침략 가능성 등이 각국에 안보 강화 필요성을 일깨웠고 무기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

특히 유럽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서진(西進) 야욕을 억제하기 위해 방위비를 늘리고 있다. 유럽연합(EU) 27개국은 2022년 3월 프랑스 베르사유궁에서 열린 EU 비공식 정상회의에서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2%로 점진적으로 늘리겠다고 선언했다.

유럽 항공우주방위산업협회(ASD)의 얀 피 사무국장은 “(최근은) 냉전 이후 (무기) 주문량이 상당히 짧은 기간 내 가장 많이 증가한 시기”라고 말했다. 유럽의 탄약 제조업체인 남모 관계자는 “유례없는 상황”이라며 “2030년까지 회사 규모를 2배로 키우는 일이 타당해 보인다”고 말했다.

지정학적 불확실성 확대에 더해 방산업계에서 신(新)기술 경쟁이 붙은 점도 대규모 구인의 배경이다. FT는 “디지털 기술 경쟁이 심화하고,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면서 방산업계에 인력이 부족해진 상황이었다”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