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DGIST, 쭉쭉 늘어나는 전계발광소자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이건우)은 정순문 에너지환경연구부 박사 연구팀이 잘 늘어나고 다양한 환경에서도 끄떡 없이 작동하는 신개념 전계발광소자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외부 환경 변화에 강한 전광판과 발광현수막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발광다이오드(LED)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와 같이 전기를 가하면 물질이 빛을 내는 것을 '전계발광'이라 한다. 일반적으로는 두 개의 평면 전극이 빛을 내는 층을 샌드위치처럼 감싸야 한다. 이 평면 전극에는 주로 금속이나 인듐 주석 산화물이 사용되지만 이러한 전극은 잘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유연한 발광소자를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전자신문

왼쪽부터 에너지환경연구부 송성규 전임연구원, 정순문 책임연구원(박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투명하고 신축성이 높으며 전기전도도를 지닌 '이온젤'이라는 특수한 재료를 전극으로 사용한 면내전계 기반 발광소자를 제작했다. 이온젤을 발광층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 잘 늘어나면서도 안정적으로 밝은 빛을 내는 발광소자를 개발했다.

특히 연구팀이 개발한 이온젤 기반의 발광소자는 전극이 발광층 내부에 있기 때문에 얼음 속이나 끓는 물과 같은 극한 환경에서도 보호막 없이 잘 작동한다. 보호막을 씌우는 과정이 필요 없어 쉽고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향후 아웃도어 디스플레이나 발광 현수막 등 기존 발광소자가 접근하기 힘든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자신문

정순문 DGIST 박사가 개발한 전계발광소자 개략도. 이온젤 전극이 발광층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다양한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되고(a), 그로 인해 얼음 내부(b), 끓는 물(c)에서도 안정적으로 구동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순문 박사는 “이번에 개발된 발광소자는 비싼 장비나 복잡한 과정 없이도 만들 수 있고, 다양한 환경에서도 강한 내구성을 보여준다”며 “향후 기존 디스플레이와는 차별화된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자를 개발하려 한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DGIST의 연구지원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세계적 화학공학 국제학술지인 '케미칼 엔지니어링 저널'에 게재됐다.

대구=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