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서울 구경오면 여기부터 갔지”...국내 1호 ‘63빌딩 수족관’ 추억 속으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985년 한국 최초 아쿠아리움 개장
60층 위치한 ‘63아트’도 운영 종료


매일경제

63씨월드(현 아쿠아플라넷63)에서 아쿠아리스트가 피딩쇼를 선보이고 있다(2011).[사진=한화호텔앤드리조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의 랜드마크 63스퀘어 내 대표 관광명소인 ‘아쿠아플라넷63’과 ‘63아트’가 이번 달 30일을 끝으로 문을 닫는다.

두 곳은 지난 수십 년간 시민들과 서울을 찾은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재미와 추억을 선사했다.

◇누적 방문객만 9000만명…‘살아있는 자연학습장’ 역할 다해
1985년 문을 연 63씨월드(현 아쿠아플라넷63)는 한국 최초 아쿠아리움으로 다양한 해양생물 관람은 물론 각종 체험과 공연으로 가족 단위 관람객의 큰 사랑을 받아왔다.

매일경제

63씨월드에서 한 아이가 펭귄 먹이주기 체험을 하고 있다(2004).[사진제공=한화호텔앤드리조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대 250여 종 3만여 마리의 해양생물이 모인 곳으로 한때 남극 ‘임금펭귄’을 만날 수 있는 국내 유일 아쿠아리움이었다. 이 같은 인기에 힘입어 개장 이후 현재까지 약 9000만명이 아쿠아플라넷63을 찾았다.

‘임금펭귄’은 남극과 인근 아열대 섬에서 서식하는 펭귄으로 황제펭귄에 이어 두 번째로 큰 펭귄 종이다.

아쿠아플라넷63은 ▲엄격한 검역 ▲환경 조성 관리 시스템 구축 ▲종 보존 프로그램 등 체계적 관리를 통해 임금펭귄을 사육했다.

임금펭귄은 평균수명이 15년 정도로 1997년부터 2014년까지 남극 생태계를 간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왔다.

이밖에도 해달, 바다코끼리, 핑크백 펠리컨 등을 국내 최초로 선보여 ‘살아있는 자연학습장’의 역할을 톡톡히 했다.

◇ 수학여행, 소풍 필수 코스 서울 대표 관광명소로 자리 잡아
아쿠아플라넷은 2013년도 해양생물연구소를 설립해 종 보전 연구에도 힘썼다.

63아쿠아플라넷을 포함한 전국 현장 아쿠아리스트가 주축이 돼 행동 분석, 생명유지장치(LSS, Life Support System) 개선, 멸종 위기 종 국내 최초 인공번식 성공 등 해양생물 보존에 앞장서왔다.

관람객 대상 ‘해양생물 생태 설명회’를 개장 초기부터 꾸준히 진행해온 것도 해양 생태계 보전을 위한 활동의 일환이었다.

전문 아쿠아리스트가 수조 안팎에서 해양생물의 생태와 서식 환경, 먹이 습성 등을 설명하는 생태 설명회는 학생 관람객들에게 큰 호응을 받았다. 아쿠아플라넷63이 수학여행 필수코스가 될 수 있었던 건 이 같은 유익한 프로그램 덕분이었다.

◇국내 최초 인어공주 공연 펼쳐 소중한 추억 선사
아쿠아리움의 대표 퍼포먼스로 자리잡은 ‘인어공주 공연’을 국내 최초로 도입한 곳도 아쿠아플라넷63이다.

매일경제

아쿠아플라넷63에서 알라딘과 인어공주 공연을 선보이고 있다(2017).[사진제공=한화호텔앤드리조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92년에 시작한 인어공주 공연은 국가대표 출신 싱크로나이즈드 선수들이 수족관 안을 유영하는 파격을 선사했다. 동화 속 장면을 연상케 하는 수준급 공연은 매번 큰 호응을 받았다.

현재는 해녀 물질 공연을 하는 제주를 제외한 아쿠아플라넷 전 지점에서 공연이 열리고 있다.

40년 가까이 고객들의 큰 사랑을 받아온 ‘국민 수족관’의 폐관 소식이 아쉬운 시민들의 발길도 이어지고 있다. 얼마 전 아쿠아리움을 방문한 임소현(41)씨는 “어린시절 소중한 기억으로 자리잡은 추억의 장소가 문을 닫는다는 소식을 듣고 아쉬운 마음에 찾아왔다”면서 “친구 가족과 이곳에서 보낸 따뜻한 시간들을 잊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63아트, 맥스 달튼 ‘영화의 순간’을 마지막으로 운영 종료
서울의 아름다운 전경과 예술작품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는 전망대 ‘63아트’도 6월을 마지막으로 문을 닫는다. 63스퀘어 60층에 위치해 ‘세상에서 제일 높은 미술관’이라는 타이틀을 가진 63아트는 세계적인 작품은 물론 국내 신진 작가 작품을 소개하는 등 문화 예술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다.

마지막 전시는 ‘맥스 달튼 영화의 순간들’이다. 맥스 달튼은 영화의 명장면을 독특한 일러스트로 표현하는 그래픽 디자이너다. 2022년에는 작가가 직접 63아트를 찾아 눈길을 끌었다. 전시는 운영 종료 직전인 6월 말까지 만나 볼 수 있다.

운영 종료를 앞두고 63아트는 소원을 기록할 수 있는 특별한 엽서를 판매한다. 소망을 적어 소원의 벽에 걸어두면 2025년 제주 들불축제에서 소각해 준다.

◇아쿠아플라넷63, 그간 찾아주신 모든 고객들에게 고마움 전해
매일경제

아쿠아플라넷63 메인수조에서 아쿠아리스트가 설 맞이 피딩쇼를 펼치고 있다(2018).[사진제공=한화호텔앤드리조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원민 아쿠아플라넷63 관장은 “지난 수십 년간 아쿠아플라넷63과 63아트를 찾아주신 모든 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이곳에 있는 해양생물들은 일산, 광교, 여수, 제주 아쿠아리움으로 거처를 옮겨 생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쿠아플라넷63이 떠난 자리는 2025년을 목표로 준비 중인 ‘퐁피두센터 한화 서울’ 개관을 계기로 공간 리노베이션 작업이 이뤄질 예정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