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원가 8만원짜리 가방 아냐?”…‘디올 사태’에 강남맘도 지갑 닫을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못 들고 다니겠다” 디올 소비자들 푸념
로이터 “LVMH, 노동 착취 정황 포착”


매일경제

상하이의 한 디올 매장 앞에 손님들이 줄을 선 모습. 자료 사진 [사진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적인 명품 크리스챤 디올의 제품 원가가 8만원이며, 중국 업체가 제작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온 후로 소비자들이 술렁이고 있다. 디올 브랜드 자체의 품격이 떨어졌다는 의견과 함께 기존에 디올 제품을 보유한 소비자들도 울상을 짓고 있다. 디올을 넘어 명품 소비 자체에 회의감을 느끼게 됐다는 반응도 적지 않다.

18일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 따르면 이른바 ‘디올 사태’ 이후 소비자들은 적잖이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명품 소비자가 많은 한 커뮤니티에서는 이날도 “디올은 명품이 아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이 글의 글쓴이는 “불법 중국 이민자들이 최저위생 기준에도 미달하는 더러운 공장에서 만든 원가 8만원짜리 가방은 명품이 아니다”며 디올의 대표 가방 제품인 ‘레이디 디올’은 이제 ‘차이니즈 디올’로 전락했다고 꼬집었다.

최근 루이비통과 디올 등을 소유한 프랑스 명품 기업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가 노동 착취 혐의를 받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전해졌다. 지난 12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디올 가방을 만드는 공장에서 중국이나 필리핀에서 온 불법 체류자들을 주로 고용했으며, 공장이 24시간 휴일도 없이 돌아가는 등 노동 착취 정황이 포착됐다.

이 과정에서 생산한 핸드백을 53유로(약 8만원)에 디올에 넘긴 것으로 전해졌다. 이 핸드백은 디올 매장에서 2600유로(약 384만원)에 판매됐다.

이 같은 내용이 전해지자 디올 소비자들은 “내가 맨 디올 가방이 8만원짜리 가방이 됐다”며 “더이상 제품을 못 들고 다닐 것 같다”고 토로했다.

실제로 중고 거래 플랫폼에서도 디올 제품 거래글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서울 강남구 대치동과 압구정동을 중심으로 매물이 많다. 디올 뷰티제품 뿐 아니라 의류, 신발, 지갑, 가방에 이르기까지 전 상품이 매물로 나오고 있으나 실제 거래로 이뤄진 게시글은 드물다.

디올 보도가 나온 후 명품에 오만정이 다 떨어졌다는 네티즌들의 의견들도 다수 나온다. 이들은 “명품이라고 샀는데 제품 마감이 이게 맞나 모르겠다” “정떨어져서 환불하고 싶다” 등 명품 구매에 환멸을 느끼게 됐다는 반응을 내놓고 있다.

최근 디올 제품을 구매했다는 한 소비자는 “예뻐서 가방을 사긴 했는데 기사 나온 후로 들어도 괜찮을 지 눈치가 보인다”고 적었다.

한편, 백화점을 중심으로 명품 소비가 견고한 가운데 올해도 명품 업체들은 잇달아 가격을 올렸다.

프랑스 명품 브랜드 ‘반클리프 아펠(Van Cleef & Arpels)’과 리치몬트 그룹 계열의 프랑스 럭셔리 주얼리·워치 브랜드 까르띠에(Cartier)도 지난달 동반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프랑스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 ‘부쉐론’은 밸런타인 데이를 앞둔 지난 2월7일 국내에서 일부 제품 가격을 5% 안팎으로 올렸고, ‘프레드’는 지난 3월18일 국내에서 약 7% 인상했다.

이탈리아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 ‘불가리(BULGARI)’ 역시 지난 4월 국내에서 일부 주얼리 제품 가격을 평균 7% 안팎으로 올렸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