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공식 출범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공수처, ‘채상병 순직 1주년 수사종결’ 국회에 “물리적으로 가능한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7월 폭우 실종자 수색 과정 중 순직한 채모 상병 순직 1주기가 되기 전 수사를 종결해달라는 여당 측 요구에 대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는 “수사팀 일정에 따라 수사를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못 박았다.

공수처 관계자는 18일 취재진과 만나 “(채 상병 순직 1주기인) 7월19일 이전에 수사를 끝마치는 게 물리적으로 가능해 보이나”라고 반문하며 이같이 밝혔다.

세계일보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현판의 모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4일 국회에서 오동운 공수처장과 만나 “국민의힘에서는 공수처에 순직 1주기가 되는 7월19일 이전에 엄정하고 시급한 수사를 통해서 수사를 종결하고 그 결과를 국민께 소상히 발표해 주실 것을 간곡히 촉구한다”고 요청한 데 대한 입장을 밝힌 것이다.

오는 21일 국회에서 이뤄지는 ‘채 상병 특검법’ 입법청문회에 대해선 “(관련자들이) 출석한다고 해서 청문회 내용을 살펴볼 것”이라며 “청문회에서 새로운 내용이 나오면 그 부분에 대해서도 수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에 대한 3차 소환조사가 가능성에 대해선 “추가 소환조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에 외압을 행사한 혐의를 받는 유 관리관은 이시원 전 대통령공직기강비서관과 전화 통화를 한 것뿐 아니라, 10여 차례 대면 보고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는 지난주에 이어 이번주에도 국방부 조사본부 관계자들을 불러 조사하며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경찰에 넘긴 채 상병 순직 사건 조사 결과를 회수한 후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혐의자가 축소된 배경을 살피고 있다.

공수처의 소환조사를 받은 유 관리관,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박경훈 전 조사본부장 직무대리 외 대통령실 관계자 등 추가 피의자들에 대한 조사는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유경민 기자 yookm@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