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삼성전자, 글로벌 전략회의 개최…위기 돌파 해법 모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한종희 삼성전자 DX부문장(부회장). 삼성전자 제공 전영현 삼성전자 DS부문장(부회장). 삼성전자 제공


[파이낸셜뉴스] 삼성전자가 국내외 임원들이 총출동하는 '글로벌 전략회의'를 개최하며 하반기 복합위기 돌파를 위한 해법 마련에 나섰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이날부터 20일까지 수원사업장에서 한종희 DX부문장(부회장) 주재로 글로벌 전략회의에 들어갔다. 사업부별로 △18일 모바일경험(MX) 사업부 △19일 생활가전(DA)·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 △20일 전사 등의 순이다.

글로벌 전략회의는 각 사업부별로 사업 성과를 공유하고, 판매 전략을 수립하는 자리다. 삼성전자는 매년 6월과 12월, 1년에 두 차례씩 글로벌 전략회의를 정례적으로 열고 있다. 올 상반기는 국내외 임원 수백명이 한국에서 모여 오프라인으로 대면 회의를 진행한다.

삼성전자가 올해를 'AI 원년'으로 선포한 만큼 전 사업부가 AI 전략 고도화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가 올해 출시한 가전·TV·스마트폰 신제품에 AI 기능을 대거 탑재한 만큼 DX부문은 AI 마케팅 전략을 주로 다룰 것으로 관측된다. 삼성전자는 'AI 가전은 삼성'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AI 가전 주도권 확보에 총력을 쏟고 있다.

반도체(DS) 부문은 25일 화성사업장에서 회의를 연다. DS 부문의 최대 현안은 기술 초격차 회복 전략이다. 전영현 DS부문장(부회장)이 취임 후 처음으로 회의를 주재하는 만큼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개발·양산 로드맵 점검, 엔비디아 등 고객사 납품 전략을 포함한 강도높은 혁신책 마련을 주문할 것으로 예측된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사업부도 업계 1위 대만 TSMC와의 점유율 격차를 좁히기 위한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삼성전자는 메모리·파운드리·패키징을 아우르는 '턴키'(일괄공급) 전략, 후면전력공급(BSPDN) 기술을 적용한 2나노미터(1㎚=10억분의 1m) 공개 등을 통해 고객사 신뢰 회복에 사활을 걸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최근 2주간 해외에 나가 글로벌 빅테크 최고경영자(CEO)들과 연쇄 회동한 이재용 회장의 출장 성과를 바탕으로 하반기 사업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