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금융포커스] “軍心 잡아라”… 은행이 베테랑 군인 영입하는 이유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지난 2022년 11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2 제2차 KB굿잡 우수기업 취업박람회'를 찾은 군인 장병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기사와는 직접 관련 없는 사진.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은행이 베테랑 군인 출신들을 스카우트하고 있습니다. 군복을 벗고 은행에 취업한 이들은 ‘군심’을 사로잡기 위한 영업 및 마케팅 업무에 배치됩니다. 전직 군인을 투입해 군 관련 업무의 전문성을 살리겠다는 취지입니다. 또한 최근 병사 급여가 가파르게 오르며 군인의 금융·경제 활동 폭이 넓어지자 장병들을 은행 고객으로 끌어들이려는 의지도 읽힙니다.

정부가 최근 공개한 ‘5월 퇴직공직자 취업심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육군 중령으로 퇴역한 A씨는 하나은행 팀장급 취업을 승인받았습니다. A씨는 새 직장인 하나은행에서도 군 관련 업무를 맡을 예정입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A씨가 군 마케팅 전문 업무를 담당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3월엔 육군 대령 출신 B씨가 우리은행에 부장대우로 입사했습니다. B씨는 우리은행 취업 직전인 2월까지도 군에 몸담고 있었습니다. 지난해 12월엔 전직 2급 상당 군무원 C씨가 신한은행에 군 전문위원 자리로 취업했습니다.

은행이 전직 공무원을 채용할 때 군 출신부터 우선으로 찾는 것은 아닙니다. 은행권 문을 두드리는 전직 공무원 명단을 살펴보면 업무 연관성이 짙은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국세청 출신이 대다수입니다.

다만 은행은 군을 상대로 한 기관영업에 군 출신이 특별히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고 전직 군인을 꾸준히 영입하는 중입니다. 지난해 8월, 전직 육군 대령이 KB국민은행의 국군금융지원단본부장으로 합류한 사례가 있습니다. 국민은행의 국군금융지원단본부 역시 군을 상대로 기관영업을 하는 조직입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금융 당국 대응 업무를 위해 금융 당국 출신을 찾는 것과 같은 이치다”라면서 “군대 특유의 조직문화와 의사결정 구조 등을 잘 파악하고 있는 전직 군인을 데려오면 군 관련 실무에 도움이 되기에 은행이 군 출신을 계속 찾는다”고 말했습니다.

금융 소비자로서 군인, 특히 병사들의 위상이 해마다 달라지는 점도 은행이 군 마케팅에 신경 쓰는 이유입니다. 최근 병사들의 월급이 큰 폭으로 뛰면서 군인들의 가용 소득이 증가하는 중입니다. 올해 병장 기준 월 기본급은 125만원입니다. 2015년(17만1400원) 급여와 비교하면 10년 새 7배 이상 뛴 수준입니다. 아울러 일과시간 외 병사의 개인 스마트폰 사용이 보장되면서 이들의 금융 접근성은 한층 더 높아졌습니다.

일부 은행은 군 장병을 대상으로 고금리 수신 상품을 내놓으며 군심 사로잡기에 뛰어들었습니다. 국민은행은 지난 3일부터 ‘KB장병내일준비적금’ 금리를 5.5%에서 6.2%로 인상했습니다. 신한은행도 같은 날 병역명문가(3대에 걸쳐 현역 복무를 마친 집안) 고객에게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신한 플랫폼 적금’을 5만좌 한정 출시했습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병사의 경우 월급도 많이 오르고 생활관 내 스마트폰 사용도 가능하나 아직 대출을 내주기 어려운 고객인 만큼 수신 위주로 상품을 설계·홍보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김태호 기자(teo@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