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재명, '애완견' 발언에 "전체 언론 대상 부당한 비판인양 변질 말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the300]

머니투데이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4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자신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故 김문기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 백현동 부지 용도변경과 관련해 허위사실을 공표한 혐의) 24차 공판에 출석하며 발언하고 있다. 2024.06.14. kgb@newsis.com /사진=김금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언론을 향해 '검찰의 애완견'이라고 했던 자신의 발언을 두고 논란이 이어지자 "일부 언론의 명백하고 심각하며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애완견 행태 비판을 전체 언론에 대한 근거없고 부당한 비판인양 변질시키는 것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18일 오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이 같이 남겼다. 다만 이 대표는 "일부 언론의 문제임을 좀 더 선명하게 표현하지 못해 언론 전체 비판으로 오해하게 했다면 이는 저의 부족함 탓이고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했다.

이 대표는 "며칠 전 법정에 출석하며 했던 저의 발언은 일부 언론의 실재하는 애완견, 경비견 행태를 지적한 것"이라며 "상대의 반론은 묻지도 않은 채 출입처인 정치검찰 주장만을 앵무새처럼 받아쓰며 사건조작 왜곡에 부역하는 일부 법조기자들의 행태는 오랫동안 비판받아 왔다"고 했다.

이어 "방북용 송금이라는 검찰주장을 베껴 쓰면서 그에 반해 주가조작용 송금이라는 국가 최고정보기관인 국정원 비밀보고서는 외면하는 것이 공정하고 객관적인 보도일 수 없다"며 "핵심 증인인 안부수 회장에 대한 매수와 그에 따른 진술번복 정황이 드러나고 몇몇 언론이 이를 보도했음에도, 대다수 검찰출입기자들은 이를 외면한다"고 했다.

이 대표는 "학계와 언론계는 물론 일반국민들 사이에서도 언론을 '워치독' '랩독' '가드독', 우리말로는 감시견, 애완견, 경비견이라 분류해 언급한다"면서도 "(앞서 언급한 검찰 출입기자들의 행태가) 건강한 감시견, 워치독의 역할인가. 애완견인 랩독, 권력 경비견인 가드독 행태가 아니라고 할 수 있나"라고 반문했다.

또한 "대다수 언론인들이 감시견의 책무로서 진실과 정의를 찾기위해 노력하고 있음은 잘 안다. 많은 언론과 언론인들의 민주주의를 지키는 정론직필에 늘 감사한 마음"이라면서도 "일부 언론에 대한 애완견 행태 비판을 전체 언론에 대한 근거없고 부당한 비판인양 변질시키는 것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했다.

이 대표는 "명예훼손을 이유로 한 언론사에 대한 무작위 압수수색이나 기자들의 기사나 언론사 보도에 대해 구속영장까지 청구하는 검찰의 행태에 언론계가 강력 항의했다는 말은 과문한지 저는 아직까지 듣지 못했다"며 "피해자가 마이너 언론이라 외면하는 것은 아닐 것으로, 뭔가 사정이 있을 것으로 믿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손가락이 아니라 달을 봐주시길 바란다"며 "언론에 대한 국민 신뢰가 낮아지는 이유가 무엇인지 함께 성찰하고 돌아볼 기회가 되길 바란다. 저와 민주당 또한, 입법 행정 사법에 이은 제4부로서 언론이 국민을 위한 권력 감시견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또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지난 14일 이재명 대표는 대장·위례·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 및 성남FC 후원금 의혹 사건 공판 출석을 위해 서울중앙지방법원을 찾았다. 이 대표는 법정 출석 전 언론을 향해 "진실을 보도하지 않고 '검찰의 애완견'처럼 주는 정보 받아서 조작·왜곡한다"고 비판한 바 있다. 이후 이 대표의 발언을 두고 양문석·노종면 민주당 의원 등이 옹호하고 나섰고, 개혁신당은 '언론인 비하'를 이유로 이 대표와 양 의원에 대해 국회 윤리위원회에 징계를 요구하는 등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차현아 기자 chacha@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