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카카오게임즈 스톰게이트 개발진 "MZ세대 정조준... RTS 열풍 만들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e스포츠 활성화, MZ세대 유입, NO Pay to Win '눈길'

아시아투데이

카카오게임즈 김상구 사업 본부장(좌), 팀 모튼 FGS 대표(중), 카라 라포지 FGS 사업책임자(우). /이윤파 기자


프로스트 자이언트 스튜디오(이하 FGS)와 카카오게임즈가 야심차게 준비한 신작 RTS(실시간전략시뮬레이션) 게임 '스톰게이트'가 한국 시장에 많은 정성을 들이고 있다.

18일 카카오게임즈의 신작 RTS 게임 '스톰게이트'의 미디어 인터뷰가 서울 강남구 아이콘 역삼빌딩 빅플레이스 스튜디오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한상우 카카오게임즈 대표, 김상구 사업본부장, 팀 모튼 FGS 대표, 카라 라포지 FGS 사업책임자 등이 참석했다.

FGS는 블리자드 출신의 개발자들이 모여 만든 게임사로, ‘스타크래프트 2’ 프로덕션 디렉터 팀 모튼 대표와 ‘워크래프트 3’ 수석 캠페인 디자이너 팀 캠벨 사장이 2020년에 설립했다.

'스톰게이트'는 FGS에서 제작 중인 신작 RTS 게임이다. '스톰게이트'는 거대한 포탈을 통해 등장한 외계 생명체인 ‘인퍼널’의 침략으로 인해 황폐화된 지구를 배경으로 한다. 인류는 살아남기 위해 뭉쳐 외계 종족에 맞서 싸울 수 있는 ‘뱅가드’를 결성 후,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키워나가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얼리 액세스(미리 해보기) 시점에서 유저들은 3가지 게임 모드를 즐길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스토리를 즐길 수 있는 캠페인 모드다. 두 번째는 영웅을 사용할 수 있고 친구들과 즐길 수 있는 협동전 미션이다. 마지막으로는 영웅을 포함하지 않은 1대 1 경쟁전 모드가 준비되어 있다.

'스톰게이트'에서는 총 3가지 종족을 확인할 수 있다. 인간으로 구성된 '뱅가드', 외계 종족 '인퍼널', 미래지향적 디자인의 '셀레스철'이 등장한다. '스타크래프트'의 3종족 '테란', '저그', '프로토스'를 연상케하는 지점이다.

이 중 '뱅가드'는 RTS 장르하면 생각나는 일반적인 게임 플레이를 추구하는 반면, '인퍼널'과 '셀레스철'은 어떤 RTS 게임에서도 볼 수 없던 플레이 경험을 주기 위해 새로운 요소를 많이 추가했다는 설명이다.

아시아투데이

한상우 카카오게임즈 대표. /이윤파 기자


행사 시작에 앞서 한상우 카카오게임즈 대표가 축사를 남겼다.

한상우 대표는 "RTS의 진정한 재미와 몰입감을 전달해 드리고, 새롭고 창의적인 게임 경험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서 진심을 담아 노력하고 있는 카카오게임즈의 도전을 따뜻한 시선으로 지켜봐 달라"라고 전했다.

아시아투데이

팀 모튼 FGS 대표. /이윤파 기자


이어 팀 모튼 FGS 대표가 나와 대략적인 게임 설명과 함께 스톰게이트의 로드맵에 대해 발표했다.

먼저 팀 모튼 대표는 RTS 게임 중 가장 반응속도가 빠른 엔진을 목표로 첫 1년은 기술 개발에만 집중하는 등 게임 퀄리티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같은 기술력에 더해 세계적 네트워킹을 통한 글로벌 매치 메이킹이 가능토록 담금질에 돌입했다.

그는 "전통 RTS 스타일을 유지하면서도 약간의 변화를 주어 유니크한 게임을 만드려고 했다"라며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한 버디봇(컨트롤을 도와주는 시스템)과 다른 게임에서 볼 수 없던 3대3 경쟁전, 맵 에디터 기능, 획기적인 플레이 스타일을 갖춘 종족 등 여러 콘텐츠가 준비되어 있다"고 밝혔다.

아시아투데이

출시 예정인 한국풍 영웅. /이윤파 기자


그리고 한국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팀 모튼 대표는 "개발진들은 RTS라는 장르를 통해 한국과 매우 깊은 역사를 함께 해온 만큼 애틋한 마음이 있다. 한국은 그 어떤 시장보다도 중요하고, 새로운 관계를 이어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여기에 서울 출신 컨셉 아티스트가 개발한 한국풍 영웅을 개발하고 있음을 알렸다. 이 영웅은 7월 얼리 액세스 이후 출시될 예정이다.

아시아투데이

'스톰게이트' e스포츠 사업 계획. /이윤파 기자


RTS 게임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는 e스포츠 활성화 계획도 발표했다. 올해는 PC방 풀뿌리 대회와 스트리머, 전 프로게이머 등을 초청하는 이벤트전 위주로 진행하고 내년 대회를 위한 일종의 예행연습을 진행한다는 설명이다.

오는 2025년에는 세계 6개 지역에서 열리는 지역리그가 진행될 예정이며, 두 번의 시즌을 진행한 뒤 8월 글로벌 챔피언십 개최가 목표다.

아시아투데이

카카오게임즈 김상구 사업 본부장. /이윤파 기자


'스톰게이트'는 MZ세대를 공략하기 위해 집중했다.

카카오게임즈 김상구 사업 본부장은 "최근 MZ세대가 스타 대학리그나 '우왁굳'의 '왁타버스 스타크래프트 생컨대회' 등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라며 "FGS 개발진의 노하우와 RTS 장르에 대한 MZ세대의 니즈가 합쳐진다면 새로운 RTS 게임 열풍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스톰게이트'도 아프리카 TV 스톰 대학, '우왁굳'과의 콘텐츠 협업 등 다양한 콜라보를 기획하며 새로운 유저층의 유입을 노리고 있다.

아시아투데이

카라 라포지 사업책임자. /이윤파 기자


카라 라포지 FGS 사업책임자는 'Pay to Win' 요소 없는 BM(비즈니스모델)을 소개했다. 그는 "스톰게이트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즐길 수 있는 부분 유료화 게임이다"며 "유저들은 스킨, 협동전 영웅, 추가 캠페인 등에 투자함으로써 더 다채로운 게임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랜타디(랜덤타워디펜스)' 등 스타크래프트의 숱한 재미를 이끈 유즈맵 방식은 스톰게이트에서 보다 진화된 형태로 만나볼 수 있을 전망이다.

팀 모튼 대표는 "팀 내에서도 게임 개발을 처음 시작했을 때 다른 게임의 맵 에디터를 통해 배운 사람도 있다. 추후 공개되겠지만 맵 에디터를 통해 새로운 모드, 아예 새로운 게임까지 개발 가능한 맵 에디터를 제공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스톰게이트'는 오는 31일 스팀 사전 펀딩 구매자 및 스팀 얼리 액세스 팩 구매자 대상 서비스를 시작하고, 8월 14일부터 전체 이용자 대상 얼리 액세스를 실시한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